한성태 ()

목차
국악
인물
일제강점기 가야금 명인이자 판소리의 명창.
이칭
이칭
한성태(韓聖泰)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0년(고종 27)
사망 연도
1931년
출생지
전라남도 담양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가야금 명인이자 판소리의 명창.
개설

김채만의 제자로 일려져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광주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활동사항

한성태(韓成泰)는 1890년 전남 담양군 대덕면 운산리 국악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부친 한덕만(韓德萬, 1867∼1934)에게 가야금을 배워서 이름을 떨쳤으나 대우가 판소리 명창에 미치지 못한 데 불만을 품고 판소리를 배웠다고 전한다. 17세부터 김채만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며, 1912년부터 광주의 협률사에 출연하여 소년명창으로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1920년부터 함흥·원산 권번에서 소리선생을 지냈고, 이후 전주·이리·군산·목포·광주·서울 등에서 여러 권번을 전전하며 소리선생을 지냈다고 한다. 1931년 1월 7일 광주에서 급병으로 작고했다. 한성태는 원래 가야금산조의 명인이며, 박동실 제 「심청가」와 「춘향가」를 잘 불렀다고 하나 그의 예술을 전승한 제자가 없다. 현재 전하는 작품은 1928년 빅타 레코드에서 취입한 단가 「경성명승」과 흥보가 중 「제비 몰러 나가는 데」, 「제비노정기」 등 유성기음반 2장(4면)이 있을 뿐이다. 한성태의 단가 「경성명승(京城名勝)」은 임방울이 녹음한 단가 「명기명창」과 사설이 대체로 동일한 곡으로, 앞쪽에 ‘기생점고’처럼 기생 이름을 나열하는 사설이 조금 추가된 것이 차이가 난다. 단가로는 특이하게 중중머리 장단으로 엮었는데, 때로는 단중머리처럼 말을 놓아가기도 한다. 중중머리 단가를 한성태가 처음 시도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지만, 판소리의 변화를 보여주는 한 사례이다. 또한 중중머리 「제비 몰러 나가는 데」는 권삼득제와 같으며, 곧바로 자진머리 「흥보 부부 품팔이」가 이어져 있다. 곡의 진행으로 보면 앞쪽에 오지만, 한 음반에 두 곡을 넣기 위해 덧붙인 것이다. 그의 음반을 들어보면 판소리 목으로는 다소 얇은 편이고 약간의 발발성도 비치지만, 성음이 구성지고 기교가 빼어나므로 전형적인 서편제 판소리를 구해했음을 알 수 있다. 단가를 중중머리로 부른 것은 서편제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며, 그가 가야금병창에 능했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 한성태는 41세에 작고하여 그의 예술이 직접 전승되지는 못했지만, 2남 한갑득(韓甲得, 1920∼1986)은 중요무형문화재 거문고산조 보유자로, 3남 한갑주(韓甲珠, 1924∼2010, 예명:韓承鎬)는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로 활동을 하였다.

참고문헌

『명인명창』(정범태, 깊은샘, 200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전통예인 백 사람』(이규원, 현암사, 1995)
『판소리이백년사』(박황, 사사연, 1987)
「단가(短歌) 경성명승·박타령(京城名勝·朴打令) 연구가(鷰驅歌Victor49012鷰驅歌:놀부제비몰러나가는가Victor49012놀부제비몰러나가는가)」(Victor49012-A·B, 독창 한성태(韓聖泰), 장고 박춘재(朴春載))
조선노정긔Victor49013조선노정긔·놀보제비도라오는노래」Victor49013-A·B, 창 韓聖泰Victor49013한성태, 고(鼓朴春載Victor49013)박춘재)
집필자
배연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