겹마치장단 (겹마치)

국악
개념
경기도 지역의 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12/8박자의 장단.
정의
경기도 지역의 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12/8박자의 장단.
개설

경기도 굿에서 무당춤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으로서 3소박 4박 (12/8박자) 장단이다.

연원 및 변천

경기도 굿음악이 매우 오래되었기 때문에 무당의 춤을 반주하는 겹마치장단도 매우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내용

겹마치장단은 경기도 굿에서 춤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의 하나이다. 겹마치는 ‘겹(겹친 가락)’과 ‘마치(‘때린다’는 농악장단의 의미)’의 합성어이다. 느린 3소박 4박 (12/8박자) 장단으로서 늦은 자진모리장단에 맞는다. 경기 무악의 대가였던 지영희에 의해 전해졌으나 현재는 지갑성에 의해 불리던 ‘겹마치기’로 경기 남부 지역의 굿에서 널리 쓰인다. 겹마치기는 특히 경기 도당굿 가운데 터벌림춤, 올림채춤, 진쇠춤 등에 많이 쓰인다. 터벌림춤은 터벌림굿에서 추는데, 터벌림(반설음), 연결채, 겹마치기로 장단이 이어진다. 올림채춤은 군웅굿에서 추는데, 올림채, 연결채, 겹마치기, 덩덩궁이로 장단이 이어진다. 진쇠춤은 군웅굿에서 군웅을 맞이하기 위해 화랭이가 추는 춤인데, 진쇠, 넘김채, 겹마치기로 장단이 이어진다.

현황

경기 도당굿의 터벌림춤과 올림채춤에서 겹마치기 장단을 연주한다. 진쇠춤은 요즘에는 많이 연행되지 않기 때문에 진쇠춤에서 겹마치기 장단은 보기 어렵다.

의의와 평가

겹마치 장단은 늦은 자진모리와 장단구조는 같지만, 경기도 굿에서 춤을 반주하는 장단으로 쓰일 때는 다른 장단과 어우러지면서 독특한 쓰임새를 갖는다.

참고문헌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이용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한국의 장단』 (김청만ㆍ김광섭, 민속원, 2002)
『한국의 무속장단』 (임수정, 민속원, 199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