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진밭 두레패농악 ( 진밭 두레)

국악
작품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
이칭
이칭
상석농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 진밭마을에서 전승되는 농악.
구성 및 형식

진밭두레패농악은 풍물과 농사소리로 구성된다. 풍물은 길놀이, 12채가락, 앉은반 풍물놀이, 농사놀이 16마당, 지신밟기, 지경다지기 등이고, 농사소리는 열소리,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김매는소리, 지경소리, 상여소리, 달구소리, 고사덕담 등으로 구성된다.

내용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진밭에서 전승되는 농악이다. 과거에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고, 두레패가 농사일의 흥을 돋우기 위해 연행하던 농악이다. 일제강점기에 식민정책의 일환으로 금지되었다가 1919년 3월 1일 독립만세운동을 계기로 다시 출범하게 되었다고 한다.

현황

'고양향토유적'으로 2005년 지정되었다. 행주대첩제 및 행주문화제 등 지역의 각종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풍물굿』 (김원호 외, 경기문화재단,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