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양도(들고사)농악 ((들고사))

국악
작품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도당2리에 전승되는 농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시 강화군 양도면 도당2리에 전승되는 농악.
구성 및 형식

강화양도농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된다. 들고사 – 하늘 복구 – 메밀모 – 새치기 – 튼입구 – 상 복구, 꼬리 복구 – 영산치기 – 볍씨 뿌리기 – 두렁밟기 – 모심기 – 콩심기 – 볏가리쌓기 – 자진 찔레메기 – 느린 찔레메기 – 멍속말이 – 인사굿

내용

강화도의 두레계는 음력 2월 1일을 기해 천신(天神)과 지신(地神)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들고사를 지냈다. 도당2리의 상회 황인범과 장구잽이 구연석 등에 의해 재현되었다.

현황

강화양도농악은 각종 대회에 참가할 때는 ‘강화두레농악’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는 경우가 많다.

의의와 평가

다른 지역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하늘 목구가락, 메밀모, 상복구 및 꼬리 복구, 찔러메기, 소라진법 등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풍물굿』(김원호 외, 경기문화재단,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