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구북

국악
물품
농악에 쓰이는 타악기.
이칭
이칭
북, 농악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농악에 쓰이는 타악기.
연원 및 변천

농악이 조선시대 후기 이래 생성된 것으로 여겨지므로 매구북은 조선시대 후기 이후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구조 및 형태

넓고 둥근 원통형의 나무통에 소가죽을 댄 타악기

제조 방법

매구북의 통은 나무통으로 만들기도 하고 여러 쪽의 나무를 둥글게 붙여 만들기도 한다. 몸통의 양쪽에는 소가죽을 대고 끈으로 엮는다.

사용 방법 및 특징

매구북은 농악패들이 매구굿, 풍물굿, 풍장굿, 두레굿, 걸립굿 등을 거행할 때 쓰는 악기이다. 매구는 한자로 ‘埋鬼’라고도 하고 우리말의 ‘메(山)’과 ‘굿’이 합쳐진 용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이용식, 집문당,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