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평두레놀이 (두레놀이)

국악
작품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농악.
이칭
이칭
부평삼산두레농악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부평두레놀이(富平두레놀이)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무형유산(2015년 03월 16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부평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농악.
구성 및 형식

부평삼산두레풍물 중 마을굿은 기굿 – 당산굿 – 샘굿으로 구성된다. 가정을 축원하는 집돌이 또는 지신밟기는 문굿 – 성주굿 – 조왕굿 – 우물굿 – 철룡굿 – 곳간굿 – 외양간굿 – 측간굿 – 마당굿으로 구성된다.

내용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동에 전승되는 두레농악이다. 과거에 농사일을 할 때 두레를 짜서 농사일의 신명을 돋우던 두레패 농악을 계승한 것이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농사일 시작 전 의식 및 두레기 받기를 기원하는 당산제, 모찌기, 모심기, 김매기 등의 농사 재현, 농사일이 끝나고 호미를 씻어 걸어두는 호미걸이, 일년 농사를 모두 끝내고 당산에 가서 제사하는 당산제의 네 마당으로 구성된다.

현황

부평삼산두레농악은 2008년 문화관광체육부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었다. 이후 부평풍물축제 등 각종 지역 축제 등에 참가하고 있다. 2015년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경기도의 풍물굿』 (김원호 외, 경기문화재단,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