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수창록 ()

출판
문헌
국가유산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된 조엄 · 이인배 · 김상익 · 남옥 · 성대중 · 원중거 · 김인겸 · 홍선보 등 8인의 수창(酬唱) 시편이 수록된 시집. 수창집.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동사수창록(東?酬唱錄)
분류
기록유산/전적류/필사본/기타류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2년 06월 22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398 (상대동, 대전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된 조엄 · 이인배 · 김상익 · 남옥 · 성대중 · 원중거 · 김인겸 · 홍선보 등 8인의 수창(酬唱) 시편이 수록된 시집. 수창집.
개설

1763년(영조 39) 일본에 통신사절단으로 파견된 조엄(趙曮) · 이인배(李仁培) · 김상익(金相翊) · 남옥(南玉) · 성대중(成大中) · 원중거(元中擧) · 김인겸(金仁謙) · 홍선보(洪善輔) 등 8인이 사행노정 중 「과조령(過鳥嶺)」, 「갑신삼월칠일 전명우강호음위부사종사관 급제문사구화(甲申三月七日傳命于江戶吟爲副使從事官及諸文士求和)」, 「십일일 자강호회정득성자(十一日自江戶回程得成字)」, 「청견사차남호곡운(淸見寺次南壺谷韻)」 등 4수의 시제에 대하여 서로 주고받은 시편이다. 2012년 6월 22일에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필사본 1책(25첩)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33.0㎝, 가로 23.5㎝이고 첩장(帖裝)의 형태로 제책(製冊)되어 있다. 표지에 ‘동사수창록(東槎酬唱錄)’이라는 제목이 제첨(題簽)되어 있고, 본문의 서체는 작자 친필 행서체(行書體)이다.

내용

『동사수창록』에는 「과조령」, 「갑신삼월칠일 전명우강호음위부사종사관 급제문사구화」, 「십일일 자강호회정득성자」, 「청견사차남호곡운」 등 4제(題)에 걸쳐 수창한 8인의 시편들을 수록하고 있다.

「과조령」은 조령을 넘어 문경으로 들어가는 길목에서 조엄 · 김인겸 · 원중거 · 성대중 · 남옥 등이 칠언절구 1수씩 노래한 것이다. 「갑신삼월칠일 전명우강호음위부사종사관 급제문사구화」는 강호에서 관백에게 어명을 전하며 지은 것으로 이인배 · 김상익 · 남옥 · 성대중 · 원중거 · 김인겸 · 홍선보 등이 칠언율시의 형식으로 1편씩 지은 것이다.

「십일일자강호회정득성자」는 강호에서 회정하면서 ‘성(成)’자를 얻어서 차운(次韻)한 시로, 조엄 · 이인배 · 김상익 · 남옥 · 성대중 · 원중거 · 김인겸 · 홍선보 등이 칠언율시의 형식으로 각각 1편씩 지었다.

끝으로 「청견사차남호곡운」은 준하주(駿河州) 청견사에서 호곡(壺谷)남용익(南龍翼)의 시 ‘다(多)’자를 차운(次韻)한 것으로, 조엄 · 이인배 · 김상익 · 남옥 · 성대중 · 원중거 · 김인겸 · 홍선보 등이 오언율시의 형식으로 각각 1편씩 남기고 있다. 수창한 시편들의 주된 내용은 임진왜란 이후의 조선과 일본 양국의 사정과 회한 및 감회 등을 읊었다.

한편 수록된 8인의 시편은 모두 28편으로 조엄이 4편, 이인배가 3편, 김상익이 3편, 남옥이 3편, 성대중이 4편, 원중거가 4편, 김인겸이 4편, 홍선보의 시가 3편이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사수창록』은 4제에 걸쳐 8인이 수창한 28편의 시가 수록되었다. 수록된 시편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주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 양국의 실정과 회한 및 감회 등을 읊은 것인데, 본문은 작자들이 친필로 서사하고 낙관한 것으로 각 작자들의 위상을 생각해 볼 때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일본으로 간 조선의 선비들』 (김경숙, 이순, 2012)
『1763 계미 통신사 사행문학 연구』 (구자현, 보고사, 2011)
「『동사수창록』에 관한 연구」 (박문열,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46권 제4호, 2012)
국가유산청(www.khs.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