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익 ()

목차
의약학
인물
해방 이후 『조선무산오운육기론』, 『동의사상임해지남』 등을 저술한 학자. 의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0년(고종 17)
사망 연도
1969년
출생지
중국 길림성 용정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조선무산오운육기론』, 『동의사상임해지남』 등을 저술한 학자. 의학자.
생애

김구익(金九翊)은 1880년 9월 9일 중국 길림성 용정(龍井)에서 출생하여 1969년 7월 22일 89세로 사망하였다. 호는 노산이다. 15세 때부터 의학자인 안형래(安亨來)의 문하에서 의학을 공부하였다. 33세에 이미 『오운육기학(五運六氣學)』과 『임상의안집록(臨床醫案集錄)』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1914년(34세)에 만주로 들어와서 독학으로 사상의학 공부를 하였다. 1936년(56세)에 제자였던 박봉우(朴鳳宇)와 함께 함흥으로 가서 최겸용을 만나 의서인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 『동의사상초본권비망록』, 『격치고』, 『동무유고』, 『동의사상신편』 등을 가지고 중국으로 갔다. 특히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을 율동계원이었던 최겸용에게서 필사하였다고 한다.

이후 중국에서 의원으로 명성이 높았는데, 『동의수세보원 사상초본권』을 1951년(71세)에 다시 정자로 수초하여 세상에 전하였다. 손영석을 양아들로 삼아 가르쳤는데, 그의 마지막 제자가 된다. 1969년(89세) 문화혁명 때 손영석이 감옥에 가자 그 충격으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활동사항

김구익은 임상상 사상을 변상한 후 다시 각 상을 열다형(熱多型), 한다형(寒多型)으로 구분하였다. 임상상에서 항상 임기응변하면서 대담하게 약물과 방제를 운용하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상의학의 기본궤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중병을 치료하였다.

그는 『동의사상임해지남(東醫四象臨海指南)』에서 새로운 사상변상법, 특히 사보론(四步論)과 사성론(四聲論)을 창안해 냈고, 중의약학과 고유의 사상약성에 따라 새로운 약성을 제정하였다. 또 자신의 평생 경험방인 태음인 62방·소음인 41방·소양인 35방을 공개함으로써 후세 사상의학의 임상과 연구발전에 공헌을 하였다.

김구익의 제자로는 세 사람이 뛰어났다고 하는데, 김구익이 함흥에 갈 때 함께 간 박봉우를 비롯하여 북한 원산에서 의사 활동을 했다고 하는 최종원, 함경북도 주을에서 의사 활동을 했다고 하는 김동석이 있다. 저서로는 『조선무산오운육기론(朝鮮茂山五運六氣論)』, 『연파당의안집록』, 『동의사상임해지남』 등이 있다.

김구익에 의해 세상에 전해진 『동의수세보원 사상초본권』은 처음에 이제마의 저작인지 분명하지 않았으나, 김구익의 제자인 손영석의 증언과 책 내용의 독창성 등에 근거하여 이제마의 저작으로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 사상초본권』(이제마 원저, 박성식 역해, 집문당, 2003)
『사상약물방제대전』(손영석, 뉴메디컴 부설 전통의학연구소, 2003)
『조선민족사상의학』(연변조선민족의약연구소, 여강출판사, 1991)
「동의수세보원 사상초본권의 서지학적 연구」(이수경·송일병, 『사상의학회지』11-1, 1999)
집필자
권건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