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귀총소이중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음인의 태음병 중 소갈병과 신장병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
목차
정의
소음인의 태음병 중 소갈병과 신장병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
내용

궁귀총소이중탕(芎歸葱蘇理中湯)은 소음인의 태음병 중 소갈병의 중소에 해당하는 병소인 비장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현대의 당뇨병과 유사한 병증인 소갈병은 갈증을 많이 느껴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는 병이다.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에 주된 원인을 구분하여 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로 나누게 된다.

이 상초, 중초, 하초의 위치는 각각의 대표되는 장부로 표현이 되는데, 상소는 폐장(肺臟), 중소는 비장(脾臟), 하소는 신장(腎臟)에 병소가 있다고 보았다. 이 처방은 『사상신편(四象新編)』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신축본(辛丑本) 제7판에 제시되어 있다.

이제마(李濟馬)가 임상초기에 사용하던 처방으로, 당시에는 체질 처방을 확립하지 못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처방을 변형하여 많이 사용하였는데 궁귀총소이중탕도 이에 속한 것으로 유추된다. 이 처방은 이제마 사후 1901년에 간행된 『동의수세보원』신축본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아, 임상후기에는 잘 사용하지 않았던 처방으로 보인다.

다만 1941년에 『동의수세보원』 제7판이 인쇄될 때 보유방(補遺方)으로 이제마의 수제자인 한두정(韓斗正)이 넣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임상에서는 제자들이 익숙하게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처방의 내용은 중초의 한기(寒氣)를 몰아내는 이중탕(理中湯)에 하초를 따뜻하게 하는 부자(附子)와 관계(官桂)가 들어가서 양(陽)을 보해주고 천궁(川芎), 당귀(當歸), 소엽(蘇葉), 총백(蔥白)으로 표부(表部)의 한사를 흩어주게 되어 있다.

현대의 난치병인 소갈병을 치료하는 처방으로서 임상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의학으로 난치병(難治病)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고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의미가 있는 처방이다.

참고문헌

『동의사상신편(東醫四象新編)』
『이제마전서』(권건혁, 도서출판반룡, 2002)
『동의수세보원』(김형태, 한방재활의학연구회, 1998)
『사상의학』(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집문당, 1997)
집필자
권건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