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광병(鬱狂病)은 울광증(鬱狂證)이라고도 한다. 소음인의 표병(表病)인 신수열표열병(腎受熱表熱病)은 울광병과 망양병(亡陽病)으로 나누는데 발열(發熱), 오한(惡寒), 무한(無汗)하면 울광병으로 규정한다. 그 증상의 경중에 따라 초(初), 중(中), 말증(末證)으로 나눈다.
초증은 태양병(太陽病) 표증(表證)이 아직 물러가지 않은 상태로서 심신이 불안한 것을 말한다. 중증은 양명병(陽明病) 위가실(胃家實)로 대변이 불통(不通)되는 것이며, 말증은 양명병에 조열(潮熱)이 오르고 헛소리를 하며 숨을 헐떡이면서 눈을 똑바로 뜨고 노려보는 듯하는 것이다.
이제마(李濟馬)의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초본권(草本券)에서는 울광(鬱狂)이라는 용어를 태양(太陽)으로 사용하였다가, 갑오본(甲午本, 1894년)·신축본(辛丑本, 1901년)에 오면서부터 울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울광증의 병기는 한기(寒氣)가 방광에 머물고 하초에서 우리 몸을 데워야 할 열이 상부로 올라가서 내려오지 못하는 것이다. 화기(火氣)가 상부, 즉 머리 쪽에서 머물기 때문에 정신증상을 동반한다. 이제마가 경위증(輕危證)으로 표현한 것은 망양증과의 대별을 위해서 표현한 것으로 인체가 오래 버티는 경우가 많아서 병이 다변하고 다양한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치료는 승양익기(升陽益氣)·온보승양(溫補升陽)하는 것을 기본정신으로 한다. 초증은 승양익기를 위주로 화해(和解)를 도모하고, 말증은 반드시 온성하제(溫性下劑)인 파두(巴豆)를 써서 고냉적체(固冷積滯)를 풀어줌으로써 온보승양(溫補升陽)시키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울광병은 상한론(傷寒論)의 태양병을 치료함에 있어서 소음인에게 대황(大黃)을 사용하여 하법(下法)을 시행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또 온성하제인 파두를 사용하여 통대변(通大便)시키고 더하여 울광증이 말증에 이르기 전에 미리 승양익기(升陽益氣)·온보승양(溫補升陽)으로 치료하여 위증(危症)에 이르지 않는 치법을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