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제승 ()

무용
인물
해방 이후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경희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한 교육자. 무용이론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2년 10월 28일
사망 연도
1996년 10월 19일
본관
죽산(竹山)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경희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한 교육자. 무용이론가.
생애 및 활동사항

1922년 서울에서 출생한 안제승은 1943년 일본 니혼[日本]대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전공하였다. 1944년 그는 형 안막(安漠)과 형수이자 무용가인 최승희의 주선으로 김백봉과 결혼했다. 1946년 7월 평양의 최승희무용연구소에서 부소장 겸 예술감독을 지내다 북한의 잦은 간섭에 1951년 1·4후퇴 때 남한으로 내려왔다.

그 후 안제승은 서라벌예술대학 교수(19641972), 경희대학교 무용과 교수로 재직하며(19721996) 후학을 양성하는 한편 무용이론가로 활동하였다.

안제승은 신무용을 ‘낡은 것과 새 것’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였고 월간 『무용한국』에 「맹아기의 신무용 고찰 」Ⅰ·Ⅱ·Ⅲ을 연재하고, 「신무용 타당성 논고」(1978)를 발표하며 『한국신무용사』(1984)를 출간하는 등 신무용 운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저서 『무용학개론』(1992)을 통해서 안제승은 무용의 본질을 정의하였고 한국무용의 근본적인 원형 뿌리 찾기에 주시하여 『한국무용사 자료집』 집필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사단법인 대한무용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퇴임 뒤에도 연구에 끊임없이 힘썼다.

상훈과 추모

1995년 옥관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참고문헌

『최승희: 격동의 시대를 살다간 어느 무용가의 생애와 예술』(정수웅, 눈빛, 2004)
『한국신무용사』(안제승, 승리문화사, 1984)
『신무용 40년사』(조동화, 성영문화사, 1962)
「한국신무용운동과 안제승의 역할」(민현주·배수을, 『한국체육철학회지』 26-3, 2008)
집필자
이찬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