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령무 ()

무용
작품
군대를 지휘하는 훈령 대장의 모습을 형상화한 전통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군대를 지휘하는 훈령 대장의 모습을 형상화한 전통춤.
구성 및 형식

훈령무는 절도 있는 동작을 통해 절제된 형식미를 강조하면서도, 당당하고 역동적인 춤사위를 통해 남성다운 힘과 기상을 표현하는 아름다운 춤이다. 여기에 대장부의 용맹한 정신세계를 담고 있다.

머리에는 짐승 털을 가공해 만든 전립(戰笠)을 쓰고, 몸에는 두루마기와 비슷한 모양의 동달이를 입었다. 동달이는 좁은 소매에 뒤가 트여 있고, 이 위에 전복을 걸쳤으며, 가슴에 띠를 둘러 앞으로 길게 늘어뜨렸다. 채찍 달린 지휘봉인 등채를 손에 들고, 사슴가죽으로 만든 신발인 목화(木靴)를 신는다. 전립에 달린 술과 늘어뜨려진 허리띠는 역동적인 춤사위를 돋보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훈령무는 군대를 지휘하는 훈령 대장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한성준(韓成俊, 1874~1941)이 구한말 군대의 훈련 장면을 보고 착안한 것이다.

현황

한성준이 남성 1인무로 만든 훈령무는 제자이며 손녀인 한영숙과 강선영에 의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한영숙의 훈령무는 그의 제자 송준영과 정재만에 의해 재해석되어 이어지고 있다. 한영숙은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승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1989년 지정 해제되었고, 강선영은 1988년 국가무형문화재 태평무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2013년 지정 해제되었다.

송준영은 스승 한영숙의 부드럽고 우아한 동작에 기초하여 전라남도 지역 특유의 몸짓을 더한 남성 춤으로 만들었고, 이러한 훈령무를 1978년 무대 위에 올려 많은 인기를 얻었다. 1983년 정재만은 훈령무를 1인무로 재현했고, 1987년 ‘정재만 남무단’을 창단하면서 이 군무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 외 강선영의 훈령무는 허튼타령, 자진타령, 자진모리, 당악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춤과 그들』(유인화, 동아시아, 2008)
집필자
이찬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