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형화 어미와 결합한 관형절 안의 어떤 명사(구)가 자신이 나타날 위치에 공범주(empty category)로 실현되면서 그것이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공지표(co-index) 되는 현상이다.
문장이 ‘-은, -을’과 같은 관형화 어미와 결합하여 절을 이루어, 뒤에 오는 명사(구)를 수식하는 통사적 절차를 관형화라 한다. 일반적으로 관형화는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관형절의 한 성분으로 상정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관계화’와 ‘보문화’로 나뉜다. 관계화는 관계관형화라고 불리기도 한다.
관계화 구성은 관형절 안의 어떤 명사(구)와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동일 지시인 경우이고, 보문화 구성은 동일 지시가 아닌 경우이다.
예를 들어, ‘내가 읽은 책은 참 재미있더라.’에서 ‘내가 읽은’은 뒤에 오는 명사 ‘책’을 수식하는 관형절이 된다. 여기에서 수식을 받는 명사 ‘책’은 ‘내가 책을 읽은’과 같이 관형절 내부의 한 성분이 된다. 이와 같이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그 관형절 내부의 한 성분이 되는 구성을 관계화 구성이라 한다.
반면, ‘네가 책을 읽은 사실이 놀랍다’에서 ‘네가 책을 읽은’은 뒤에 오는 명사 ‘사실’을 수식하는 관형절이 된다.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 ‘사실’은 관형절 내부의 성분이 될 수 없다. 이와 같이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가 관형절의 어떤 성분도 관련이 없는 구성을 보문화 구성이라 한다.
관계화는 관형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구)와 공지표(co-index)되는 관형절 내부의 명사(구)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 역할에 따라 결정된다. 관계화 가능성의 정도를 보면, 주어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언제나 관계화가 가능하며 목적어 역시 관계화가 잘 되는 편이다. 그 다음은 ‘부사어(NP:명사구)에, NP에게, NP로, NP에서)>부사어(NP와)>보어>부사어(NP보다, NP처럼)’의 순서로 가능성 정도를 정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