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환 ()

목차
법제·행정
인물
해방 이후 육군소장, 국방부차관, 육군중장 등을 역임한 군인. 관료 · 기업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4년 8월 15일
사망 연도
2001년 10월 1일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강원도 철원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육군소장, 국방부차관, 육군중장 등을 역임한 군인. 관료 · 기업인.
내용

1914년 강원도 철원에서 출생했다. 일제강점기 만주로 건너가 1933년 만주 하얼빈상업학교를 졸업했다. 1936년 만주국이 초급장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한 중앙육군훈련처(봉천군관학교)에 입학, 1937년 제5기로 졸업했다. 이후 만주 육군경리학교(陸軍經理學校)와 만주국군관학교(滿洲國軍官學校)를 졸업하고, 만주국 육군의 경리장교로 임관하였다. 1941년 군수 중위로 집급했다.

태평양전쟁 종전 후 귀국하여 1947년 남조선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재무처장직을 수행하였고, 1948년에는 국방부 제3국장을 거쳐, 1950년 육군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한국전쟁 중인 1951년에는 육군 소장으로 승진하였다. 1951년 6월부터 1953년 11월까지는 장경근 차관의 후임으로 국방부 차관직을 수행하였다.

1954년 육군 중장 진급과 함께 이승만 대통령의 미국 방문 때, 수행원으로 한미회담에 참가하였으며, 대한석탄공사 군파견단장직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1955년 육군 중장으로 현역에서 전역한 후, 1955년 9월부터 1958년 8월까지 강성태 장관의 후임으로 상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56년에는 경제조정관 서리를 겸임하기도 하였다. 1958년 8월 상공부 장관직을 그만두고 곧바로 민병기 장관 후임으로 1959년 3월까지 제17대 내무부 장관직을 수행하였고, 이어 최인규 장관과 자리를 교체하여 1959년 3월부터 1960년 4월까지 제8대 교통부 장관에 임명되어 장관직을 수행하였다.

3·15 부정 선거의 여파로 발발한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붕괴되자, 「부정선거 관련자 처벌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르다가 모범수로 가석방되었다. 이후 공직에서 물러나 한국관광공사 총재, 군인복지연합봉사회 이사장, 유엔 한국참전국협회 회장, 재향군인회 회장, 한국전력 사장, 국토통일원 고문, 한국관광협회 회장, 경흥학원 이사장, 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기업인으로도 활동하여 이수산업 사장, 한동판유리판매 사장, 한진관광 사장, 정석기업 사장, 교통신문 회장직을 역임하였다. 그 밖에 다양한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한국복지재단 대표, 한국외국어능력평가원 이사장, 용산문화원 원장, 한국박물관 회장, 교회와 산업사회연구회 이사장직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1972년 1월 재향군인회장 재직 중에는 그간의 다양한 활동을 인정받아, 대만 중국문화대학교에서 명예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고, 1996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명예 법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간의 공직활동으로 금성충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보국훈장 통일장을 수여받았으며, 기업인으로도 1970년 동탑산업훈장 및 1982년 은탑산업훈장을 수여받았다. 이밖에 미국 대통령공로훈장, 스웨덴 적십자훈장, 필리핀 대통령훈장, 에티오피아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2001년 10월 1일 사망했다.

참고문헌

『친일인명사전』 1 (민족문제연구소, 2009)
『대한민국 인물연감』(청운출판사, 1967)
『매일경제』(1972.1.29)
『동아일보』(1962.8.14)
『동아일보』(1955.9.18)
집필자
김희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