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갯벌 및 저어새 번식지 ( 갯벌 및 저어새 )

목차
관련 정보
강화갯벌 및 저어새번식지
강화갯벌 및 저어새번식지
동물
지명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 형성된 저어새가 번식하고 있는 갯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일대에 형성된 저어새가 번식하고 있는 갯벌.
개설

2000년 7월 6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강화갯벌은 강화의 남부지역과 석모도, 볼음도 등 섬 주변에 자리하고 있다. 지정 면적은 약 435㎢이다.

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의 여름철새이자 일부 겨울철새로 강화갯벌을 중심으로 번식하고 있다. 1968년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종이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에 지정되어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멸종위기종(EN: Endangered)으로 분류되어 있다.

내용

강화갯벌은 철새의 이동 경로상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지역에서 번식하는 철새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으로 이동하는 중 먹이를 먹는 중간 기착지에 해당되는 곳이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우수한 강화갯벌은 저어새의 서식환경 보호를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특히 강화군 비도, 석도의 경우는 번식지 보호를 위해 공개제한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학술 등의 목적으로 출입하고자 할 때에는 국가유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저어새는 부리 길이가 145∼193㎜, 날개 길이가 329∼376㎜,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이 119∼134㎜이다. 해안의 수심이 얕은 장소, 간척지, 소택지 및 논 등에서 주로 생활하고 잠을 잔다. 1∼2개체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20∼50개체의 무리를 이루며 생활하는 경우도 있다.

번식 기간은 3∼7월이며 알의 개수는 4∼6개이다. 먹이는 주로 물고기, 개구리 및 조개류 등이며 갯벌, 해안 및 하천에서 취식한다. 저어새라는 이름은 주걱처럼 생긴 부리를 양 옆으로 저으면서 먹이를 찾는 모습을 바탕으로 붙여졌다.

영문이름인 ‘Black-faced Spoonbill’은 ‘검은 얼굴의 스푼 부리의 새’를 뜻한다. 이러한 저어새의 부리는 촉각이 매우 발달하여 먹이를 찾는데 유리하다. 보통 갯벌이 있는 무인도서에서 번식하며 내륙의 얕은 저수지, 수로, 논에서 먹이를 찾는다.

현황

주요 번식지는 강화도 남단의 각시바위, 요도, 수리봉과 인천광역시 송도의 남동유수지이다. 2007년까지경기도 김포시의 유도는 100쌍 이상이 번식하는 국내 최대 저어새 번식지였다. 하지만 여러 방해 요인으로 인해 번식쌍이 줄어들었고 대신 강화도 남단의 작은 섬으로 이동하여 번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개체수는 2003∼2004년에 22개체, 2004∼2005년에 21개체가 확인되었다. 2010년 1월에는 제주도에서 27개체가 확인되었다. 본 종은 동아시아에서만 서식하며 한국, 홍콩, 타이완, 일본, 베트남 및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2010년 국제 저어새모니터링에서 최대 2,347개체가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의 천연기념물(조류): 자연의 숨은 보물을 찾아서』(백인환 외, 국립중앙과학관, 2014)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의 새』(김성현 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 조류』(국립생물자원관, 201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국가유산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