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창오리

목차
관련 정보
가창오리
가창오리
동물
생물
기러기목 오리과의 철새.
이칭
이칭
태극오리, 반달오리
목차
정의
기러기목 오리과의 철새.
개설

전 세계 집단의 약 95%가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겨울철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수만과 부남호, 금강 하구, 동림저수지, 고천암호, 금호호, 아산만주남저수지 등지에서 관찰되며, 최근에는 약 40만 ~ 60만 개체 이상이 큰 무리를 이루어 겨울을 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취약종(VU: Vulnerable)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 · 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에 수록되어 보호받고 있다. 학명은 Anas formosa 이다.

생태

부리 길이는 34∼40㎜, 날개 길이는 167∼220㎜, 주1은 32∼38㎜이다. 호수, 소택지, 하천 등에서 주로 서식한다. 낮에는 비교적 안전한 큰 저수지에서 대규모 무리로 잠을 자며 밤에는 먹이를 얻기 위해 활동한다.

짝짓기는 월동지에서 이루어지며 둥지는 구릉지나 풀숲의 땅 위에 짓는다. 산란 기간은 4∼7월이며 알의 개수는 6∼9개, 포란 기간은 약 26일이다. 주로 암컷이 포란을 한다. 월동 기간은 주로 11월 말부터 3월 초까지이다. 먹이는 주로 식물성으로 낟알, 쌀, 수초 등을 먹으며 주2 및 무척추 동물 등 동물성 먹이도 먹는다.

현황

1900년대 초반에는 동아시아에서 가한 흔한 오리였으나 1900년대 중반부터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급감하였다. 머리의 뺨에 있는 태극 모양으로 인해 북한에서는 태극오리라고도 불린다.

국내에서 대규모 집단이 월동하는 것은 1984년에 주남저수지에서 최초로 확인된 5,000개체이다. 1986년에 20,000개체를 기록한 이후로 1990년대 초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4∼95년, 1995∼96년 겨울에는 11월 초부터 12월 말까지 천수만 간척지에서 월동하다 탑정저수지와 금강호에서 1월까지 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중부 이남의 월동 개체수는 최대 약 35만 개체가 기록되었지만 2008년부터는 60만 개체까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는 이보다 많이 감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의 새』(김성현 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 조류』(국립생물자원관, 2011)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디지털서산문화대전(seosan.grandculture.net)
세계자연보전연맹(www.iucn.org)
주석
주1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 우리말샘

주2

물속에서 사는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하루살이, 잠자리, 모기 따위와 같이 애벌레와 번데기 시기만 물속에서 지내는 것과 물방개, 소금쟁이 따위와 같이 일생을 물속이나 수면에서 사는 것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영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