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부리도요

목차
관련 정보
넓적부리도요
넓적부리도요
동물
생물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이칭
이칭
주걱부리도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도요목 도요과의 철새.
개설

우리나라에는 이동시기인 봄과 가을에 드물게 도래하는 철새이다. 통과철새로 유부도, 새만금, 낙동강 하구 및 흑산도 등에서 관찰되었고 일부는 동해안에서도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관찰된 최대 개체수는 낙동강 하구의 215개체와 만경강 하구의 200개체이다.

새만금 등 주요 서식지 개발로 인해 최근 개체수가 급감한 종이다. 최근 5년간 우리나라에서는 20개체 이하로 관찰된 보호가 시급한 종이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보호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자료집(Red List)에는 위급종(CR: Critically Endangered)으로 분류되어 있다.

내용

날개 길이는 95∼99.5㎜, 부리 길이는 20∼22.5㎜, 부척(跗蹠: 새의 다리에서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의 부분)은 20∼22.5㎜이다. 단독 혹은 10∼20개체 이하의 소수 무리로 이동하고 먹이를 찾는다. 주로 좀도요와 민물도요 무리와 혼성하며 2㎝ 이하의 수위를 좋아한다.

번식 시기는 6∼7월인데, 이때가 되면 수컷이 약 100m 이상 상공으로 올라갔다가 급강하하는 과시행동을 하며 암컷을 유인한다. 알의 개수는 2∼4개 정도이다. 포란은 오직 수컷만이 전담한다. 먹이는 작은 다모류, 갑각류의 게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는다.

현재 전 세계 잔존개체수가 약 450∼1,000개체 이하일 정도로 집중보호가 필요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번식지는 극동러시아 지역이며 서식지 파괴로 인해 현재 약 150∼320쌍 정도만 번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급격한 개체수 감소 이유는 월동지에서의 남획과 중간기착지인 서해안의 개발이다. 종 보전을 위해서는 중간기착지인 유부도, 낙동강 하구는 물론 흑산도 일원의 서식지 보호가 시급하다.

참고문헌

『(우리가 지켜야 할) 멸종위기의 새』(김성현 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
『한반도의 조류: 조류현황·소장표본·문헌총람』(원병오·김화정, 아카데미서적, 2012)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새 백 가지』(이우신·김수만, 현암사,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원병오, 문교부, 198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