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용화사 석조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통영 용화사 석조관음보살좌상
통영 용화사 석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통영시 용화사 관음암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관음보살상.
목차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용화사 관음암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관음보살상.
내용

200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46.8㎝. 상반신을 앞으로 숙이고, 어깨를 앞으로 움츠린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왼손은 가부좌한 발 위에 올려 손가락이 아래를 향하고, 무릎 위에 얹은 오른손은 손바닥을 위로하여 중지와 무명지를 모두 구부려 엄지를 맞댄 수인이다.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양쪽 귀 뒤로 한번 돌아 어깨에서 세 가닥으로 나누어 흘러내린다. 보살상이지만 옷을 입은 방식은 불상과 같은 대의를 통견식으로 입었다. 오른쪽 어깨의 대의를 겨드랑이로 빼내어 왼쪽 어깨 위로 넘겨 그 자락이 바닥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가슴에 위치한 승각기는 수평으로 접어 띠로 묶어 정리하였다. 결가좌한 양다리 사이로 주름이 잡혀 흘러내리는 옷자락은 넓게 부채꼴 모습으로 퍼져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조성발원문에 의해 1683년 금어(金魚) 색난(色難)과 그 제자들이 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색난은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화승이다. 이밖에 발원문에는 지장시왕상과 관음상을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지장시왕상은 현존하고 있지 않다. 지금의 용화사 명부전 지장시왕상은 조선 말 고종 연간에 함양 영은사에서 옮겨온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작지만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활동한 색난의 작품이다. 특히 남아 있는 그의 작품은 대부분 목조이므로, 석조로 조성된 이 불상은 희귀한 예이다. 아울러 1683년에 조성된 것이 확실한 기년작으로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상 조각: 고려·조선 불교조각사 연구』(문명대, 예경, 2003)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이분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