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용화사 석조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통영 용화사 석조관음보살좌상
통영 용화사 석조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통영시 용화사 관음암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관음보살상.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통영 용화사 석조관음보살좌상(統營 龍華寺 石造觀音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보살상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5년 10월 13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통영시 봉수로 108-84 (봉평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통영시 용화사 관음암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관음보살상.
내용

2005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불상 높이 46.8㎝. 상반신을 앞으로 숙이고, 어깨를 앞으로 움츠린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왼손은 가부좌한 발 위에 올려 손가락이 아래를 향하고, 무릎 위에 얹은 오른손은 손바닥을 위로하여 중지와 무명지를 모두 구부려 엄지를 맞댄 수인이다.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양쪽 귀 뒤로 한번 돌아 어깨에서 세 가닥으로 나누어 흘러내린다. 보살상이지만 옷을 입은 방식은 불상과 같은 대의를 통견식으로 입었다. 오른쪽 어깨의 대의를 겨드랑이로 빼내어 왼쪽 어깨 위로 넘겨 그 자락이 바닥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가슴에 위치한 승각기는 수평으로 접어 띠로 묶어 정리하였다. 결가좌한 양다리 사이로 주름이 잡혀 흘러내리는 옷자락은 넓게 부채꼴 모습으로 퍼져 있다.

이 관음보살상은 조성발원문에 의해 1683년 금어(金魚) 색난(色難)과 그 제자들이 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색난은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화승이다. 이밖에 발원문에는 지장시왕상과 관음상을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나 지장시왕상은 현존하고 있지 않다. 지금의 용화사 명부전 지장시왕상은 조선 말 고종 연간에 함양 영은사에서 옮겨온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작지만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활동한 색난의 작품이다. 특히 남아 있는 그의 작품은 대부분 목조이므로, 석조로 조성된 이 불상은 희귀한 예이다. 아울러 1683년에 조성된 것이 확실한 기년작으로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상 조각: 고려·조선 불교조각사 연구』(문명대, 예경, 2003)
국가유산청(www.khs.go.kr)
집필자
이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