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배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폭탄 거사를 벌였으며, 대한광복군총영의 외무부 기밀과 과원이 되어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3년 9월 3일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평안남도 평양
주요 경력
대한광복군총영 외무부 기밀과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근배는 일제강점기, 군자금 모집을 위해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지원할 군자금을 모집하고자 비밀결사 농민단을 조직하여 1920년 9월 18일 평안남도 강동경찰서 투탄 거사를 주도하였다. 그 후 서간도의 대한광복군총영 요원이 되어 군자금 모집 활동을 계속하다가 체포되어, 1922년 8월 10일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옥고를 겪다 1931년 가출옥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평안남도에서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폭탄 거사를 벌였으며, 대한광복군총영의 외무부 기밀과 과원이 되어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평안남도 평양부(平壤府) 창전리(倉田里) 출신으로, 1893년 9월 3일 태어났다. 평양고등보통학교(平壤高等普通學校)를 다녔다.

주요 활동

평양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20년 5월 중순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있는 상하이[上海]로 도항(渡航)하기 위해 일행 3명과 함께 진남포(鎭南浦)에 갔다가 경찰에 연행되어 현금 3,500원을 빼앗기고 구류 처분을 받았다.

그 후 평안남도 강동군 원탄면 송오리의 탄광으로 가서 위장 취업하고, 이환욱(李桓郁)과 함께 원탄면과 강동면의 젊은 농민 · 광부 · 대장장이 등 9명을 규합하여 비밀결사 ‘농민단(農民團)’을 조직하였다. 그들은 임시정부를 원조할 군자금을 모집하기로 하고, 먼저 민심을 격동시킬 필요에서 관내 경찰서와 주재소들에 차례로 폭탄을 던지기로 결의하였다.

그리고는 탄광 채탄부 최인택(崔仁澤)의 도움으로 폭파용 다이너마이트와 도화선을 얻어서 원통형 폭탄 1개를 제조하였다. 그것을 금융조합 사환인 이치모(李致模)가 건네받고 9월 18일 밤 9시 30분에 강동경찰서에 던지니, 유리창이 부서지고 일경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그 후 이근배는 원탄면 삼청리의 이관식(李寬植)과 흑룡리의 서상목(徐相穆)을 찾아가 임시정부 특파원을 자칭하고 군자금 200여 원을 받아냈다. 이후에는 서간도 관전현(寬甸縣)에 본부를 둔 대한광복군총영의 외무부 기밀과 과원이 되어 권총과 선전문서를 휴대하고 군자금 모집 활동을 계속하였다.

그러던 이근배는 현상금 3천 원을 내건 경찰에 1922년 1월 체포되었고, 1922년 8월 10일 평양지방법원에서 무기징역형을 선고받았다. 항소하였으나 기각되어 원심대로 장기 옥고를 겪던 중에 세 차례 감형을 받고, 1931년 6월 17일 경성형무소에서 가출옥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11(국가보훈처, 1976)
金正明 編, 『朝鮮獨立運動』(東京:原書房, 1967)

신문 · 잡지

『동아일보』(1931. 6. 25.)
『동아일보』(1922. 4. 21.)
『매일신보』(1922. 4. 21.)
『동아일보』(1922. 4. 8.)
『동아일보』(1922. 3. 25.)
『동아일보』(1922. 2. 21.)
『동아일보』(1922. 1. 19.)
『매일신보』(1922. 1. 19.)
『매일신보』(1922. 1. 12.)
『신한민보』(1920. 6. 2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