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총영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단체
1920년 서간도 안동현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산하의 지방사령부.
이칭
속칭
대한광복군총영
단체
설립 시기
1920년
해체 시기
1922년
설립자
오동진
설립지
서간도 안동현
상위 단체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소재지
서간도 안동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광복군총영은 1920년 서간도 안동현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산하의 지방사령부이다. 광복단을 중심으로 민국독립단과 통합하여 조직되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서간도에 설치하려 한 광복군사령부와는 설립 주체가 다르다. 광복군사령부가 조직되기에 앞서 광복군총영이 이미 조직되어 있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서간도 지방사령부는 광복군총영이 담당하였다.

목차
정의
1920년 서간도 안동현에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산하의 지방사령부.
연원 및 변천

1920년 8월 대한민국임시정부군무부(軍務部) 산하에 서간도(西間島) 지방사령부로 광복군사령부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그보다 약 1개월 앞선 7월 서간도에는 이미 광복군총영이 조직되어 있었다. 이후 서간도에서 실제 활동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방사령부는 광복군총영이었다.

1920년 7월 서간도 안동현(安東縣)에서는 이탁(李鐸)오동진(吳東振)이 주도하는 광복단(光復團)을 중심으로 민국독립단(民國獨立團)이 통합하여 광복군총영이 조직되었다. 조직 편제는 총영장(總營長) 아래에 군사부 · 참의부 · 재정부의 3부를 두었고, 참의부 아래에 군영을 두었다.

광복군총영의 대원은 자체 군사총회를 통해서 선정하였다. 초기 선출된 대원은 알 수 없으나, 1922년 8월 제2회 정기대회에서 개선(改選)된 대원은 총영장에 오동진, 군사부장(軍事部長) 겸 참모부장(參謀部長)에 백남준(白南俊), 경리부장(經理部長)에 이관린(李寬麟)이었다.

또한, 국내의 천마산대(天馬山隊)[E0055852]를 철마별영(鐵馬別營)으로 하여 별영장(別營長)에 최시흥(崔時興)을 임명하였으며, 벽동(碧潼) 파저강(波瀦江) 연안의 무장 단체를 벽파별영(碧波別營)으로 하여 별영장에 김영화(金永和)를 임명하였다.

광복군총영은 평안도 안주, 신의주, 선천 등지에서 조선총독부 기관과 경찰서를 습격하는 국내 진공 작전을 벌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부 산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독자적인 활동을 하였다. 1922년 서간도 독립군 단체의 통일 기관으로 대한통의부(大韓統軍府)가 조직되면서 발전적으로 해체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병석교수화갑기념 한국근대사논총간행위원회, 『윤병석교수화갑기념 한국근대사논총』(지식산업사, 199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자료 2- 임정편 Ⅱ』(국사편찬위원회, 197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3(정음문화사, 1968)

논문

윤대원, 「서간도 대한광복군사령부와 대한광복군총영에 대한 재검토」(『한국사연구』 133, 한국사연구회, 2006)

신문 · 잡지 기사

「광복군총영 제2회 정기대회」(『독립신문』, 1922. 9. 20)
집필자
윤상원(전북대학교 역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