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신여학교는 1913년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 설립한 기독교계 학교이다.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캐나다 장로파 선교사 박걸(朴傑, A.H.Barker)과 그의 부인 레베카가 조선인 소녀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한 기독교계 학교이다. 1920년 6월 중학교로 승격되어 명신여자중학교가 되었다. 1941년 설립자들이 용정에서 철수한 후, 1943년 다른 학교와 병합되었다가 1945년 다시 회복되었고, 1946년 다른 5개의 중학교와 함께 길림성립용정중학교가 되었다.
간도 용정의 명신학교는 주로 간도 지방에 모여 살고 있는 조선인 소녀들의 교육을 목표로 설립된 기독교계 학교이다. 조선의 함경남 · 북도에 온 외국인 선교사들은 1912년 경에 조선의 북부지방 여러 지역에 교육기관을 세우고 있었는데, 캐나다 장로교 교회[후에 연합교회]에 소속된 선교사들은 용정 동쪽 변두리에 있는 26에이커의 땅을 사서 선교본부 청사를 세우는 동시에 병원과 성경학원, 그리고 선교사의 사택을 건립하였으며, 나중에는 남녀 중학교와 소학교를 세우는 것도 계획하였다.
1913년 캐나다 장로교회 해외선교부에서 파송되어 용정에 부임한 캐나다 선교사 박걸의 부인 레베카는 “ 유교의 질곡에 얽매인 조선의 여성들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여성들로 하여금 학문을 익히게 하고 견식을 넓혀 그들도 남성들과 동등한 지위에 있음을 자각시켜야 한다.”고 하면서, 여성교육과 여성 지위 향상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레베카는 전도에 힘쓰는 한편 스스로 여성교육기관의 설립에 착수하였는데, 1913년 6월 4일 용정에 소학교를 세우고 여자아동들을 받아들여 수업을 시작하였다. 이것이 바로 명신여자학교인데, 1920년 6월 명신여자중학교로 승격되었다.
명신여학교의 수업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용정을 중심으로 간도 각 지방에서 오는 조선인 여학생들의 지식욕을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국민소학교 6년제, 중학교 4년제의 기초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둘째, 기독교 신앙과 기독교 교육을 통하여 기독교의 교의가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이해하도록 가르쳐 주는 것이다.
셋째, 정부의 교육행정기관에서 정해 놓은 표준에 따라 부합되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넷째, 정신적 · 문화적 · 육체적인 면에서 학생들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다.
1913년 6월 4일 명신여학교가 시작된 이후, 1920년 6월 캐나다 선교협의회는 당시 교장이었던 영국 선교사 게투르스 · 챠스나씨를 통해 기존의 명신여학교를 중학교로 승격시켜 명신여자중학교로 할 것을 결정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을 계기로 모든 사립학교들이 만주국 정부의 새법령 아래 놓이게 되었고, 1938년 명신여자중학교는 새 법령에 순종하여 등록신청서를 접수하던지 아니면 학교인가를 취소하던지의 여부를 선택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결국 등록신청서는 접수되었고 1938년 5월 허가서가 나왔다.
일본의 통제를 받는 교육이 전개되기는 했으나, 성격과목과 특정된 몇 과목은 계속 조선어로 수업하는 것이 묵인되었다.
시세(時勢)의 변화로 1941년 봄이 되자 설립자인 캐나다인들이 용정에서 철수한다는 결정이 내려졌고, 이후 명신여자중학교의 교학활동은 조선인 교장 이두섭의 지휘 아래 정상적인 궤도로 진입하는 듯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1943년 이후 명신여자중학교는 당국의 압력으로 용정 시내에 있는 다른 여자중학교와 병합되었고 일본인 새 교장이 부임하게 됨에 따라 식민지교육기관으로 전락하였다.
광복 후인 1945년 9월에 다시 명신여자중학교로 회복되었으나, 1946년 9월 16일 용정에 있는 다른 5개의 중학교와 함께 '길림성립용정중학교'가 되었다.
명신여학교의 운영은 캐나다 연합교회의 본부로부터의 원조에 힘입은 바 크다. 가령, 명신여학교의 운영과정에서 전형적인 예로 1936년도의 학교경비 결산안을 보면, 총 지출액 6,727원 가운데 1,700원은 수업료 수입으로, 나머지 5,027원은 연합교회의 원조금으로 충당되었다.
학생수는 1932년의 경우, 등록된 학생수는 169명(소학생 105명, 중학생 64명)이었는데, 1949에는 전교의 학생수가 소 · 중학생을 합쳐 500명에 이르렀다. 1941년까지 21년 동안 21회의 졸업식을 거쳐 255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