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진중학교 ()

학교교육
단체
1920년 2월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 설립된 기독교계 사립 중학교.
이칭
이칭
은진학교, 제3국민고등학교, 길림성립용정중학교
단체/학교
개교 시기
1920년 2월 4일
설립자
부두일
설립지
중국 간도 용정
소재지
연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은진중학교는 1920년 2월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 설립된 기독교계 사립 중학교이다. 캐나다 장로파 선교사 부두일(富斗一, W.R.Foote)이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 설립한 기독교계 사립 중학교이자 민족계 교육기관이다. 수업 과목은 자연과학을 위주로 하면서 성경 · 영어 · 한문 등을 교수하였다. 1942년 제3국민고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광복 후인 1946년 2월 잠시 동안 은진중학교로 복귀하였으나, 같은 해 8월 인근 5개의 중학교와 통합하여 길림성립용정중학교가 되었다.

정의
1920년 2월 중국 길림성 간도 용정에 설립된 기독교계 사립 중학교.
설립 배경

영국령 캐나다 장로파 교회 선교사들은 1913년 용정에 와서 교회를 세우고 선교활동을 진행하는 한편, 제창병원(済昌病院)을 세워 신도들의 병을 치료해 주었고, 성경서원과 명신여학교를 세워 신도들의 자녀를 교육하는 등 각종 자선사업을 벌였다.

장로파 교회의 선교사 부두일은 선교활동을 더 한층 확장하려는 취지로 1919년 하반기부터 중학교 창립 활동을 벌였고, 1920년 2월 교사(校舍)를 마련하여 학생들을 모집하기 시작해 은진학교를 열었다.

교훈과 교육 목표

1920년 2월 4일 중학교가 창립되었는데, 교명은 ‘하느님의 은혜로 진리를 배운다.’는 뜻으로 은진(恩眞) 학교라 하였다.

변천 및 현황

은진중학교가 설립된 1920년 가을 ‘경신년대토벌’로 명동학교 · 정동학교 · 북일학교 등의 학교가 잿더미가 되자 이들 학교의 학생이 은진중학교로 모여들어 재학생이 150여 명에 이르렀다. 더불어 3대 교장이 된 스코르의 명망으로 훈춘 내의 많은 학교에서, 그리고 화룡 · 연길 · 황청 등의 장로파 교회 소학교 졸업생이 은진중학교로 모여들었다.

1923년 3월부터 5년제 중학교가 4년제로 변경되었고, 1923년 제1회 졸업생 가운데 6명이 전문학교로 진학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1926년부터는 은진중학교에도 조선공산당 지부가 조직되었고, 용정 각 학교의 반종교 투쟁이 일어나면서 은진중학교에서도 예배와 성경수업을 반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그 결과 진보적 학생들과 학교 당국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1927년 4월에는 150여 명의 학생이 퇴학을 선포하면서 인근의 대성중학교동흥중학교로 전학하는 일이 벌어졌다.

1927~1928년에 걸친 제1차 · 제2차 공산당 검거사건이 있었지만, 학생들은 계속해 영국 조계지 내에서 반일투쟁이나 거리 시위행진을 이어갔다. 이 영향 때문인지 1932년 제10회 졸업생은 단 2명뿐이었다.

1926년 2월 만주국 교육부의 명령에 따라 은진중학교는 토목과와 건축과로 이루어진 공과학교가 되었고, 1937년에는 교육권이 만주, 즉 일본의 손으로 넘어가는 이양식이 거행되었다. 이로써 학교 교육내용에서 종교교육은 완전히 폐지되었고, 성경수업은 과외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1942년에는 제3국민고등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광복 후인 1946년 2월 잠시 동안 은진중학교로 복귀하였으나, 같은 해 8월 인근 5개의 중학교와 통합하여 길림성립용정중학교가 되었다.

교육 활동

1920년 개학할 때의 학생은 27명이었고, 부두일이 제1대 교장으로 취임하였으며 학감으로 이태준, 고문으로 김약연 · 이병하 · 백례수 등이 초빙되었다. 개학 의식은 성경서원에서 이루어졌다.

교사(校舍)는 성경서원 2층을 사용하였고, 수업 과목으로는 자연과학을 위주로 하면서 성경 · 영어 · 한문 등을 교수하였는데 학제는 5년이었다. 이때 학생들은 거의 30세 좌우의 청장년들로서 그 가운데는 지식을 배워 나라와 민족을 구하려는 민주주의 사상과 뜻을 품은 자들이 많았다.

학교를 세운 이후 1946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24회에 걸쳐 983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는데, 제3대 교장 시절에는 학생수가 300명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금해, 『중국 조선족 교육의 역사와 현실』(경인문화사, 2012)
박주신, 『간도한인의 민족교육운동사』(아세아문화사, 2000)

논문

전주연, 「1910년대 북간도 지역의 민족운동과 민족주의 교육」(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한생철, 「26년간의 풍춘 변화-은진중학교-」(『연변문사자료』 6, 정협연변조선족자치주위원회,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