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천수관음보살도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고려시대 천수관음보살을 그린 불화.
작품/서화
창작 연도
14세기
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고려 천수관음보살도(高麗 千手觀音菩薩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9년 03월 0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는 고려시대 천수관음보살을 그린 불화이다.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이 달린 천수관음보살이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를 상징화하였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유일한 천수관음보살도로 온화한 색조와 섬세한 금니 채색이 어우러져 격조 있는 아름다움을 구현하였다. 2019년 3월 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고려시대 천수관음보살을 그린 불화.
내용

천수관음보살이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를 상징화한 불화이다.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을 지닌 관음보살로 ‘천수천안관세음보살(千手千眼觀世音菩薩)’ 또는 '대비관음(大悲觀音)'으로 부른다.

형태 및 특징

비단 바탕에 세로 93.6cm, 가로 51.2cm의 화면 크기에 11면 44수 천수관음보살과 권속을 그린 고려 불화이다. 보통 천수관음보살은 11면 얼굴과 지물을 잡고 있는 40~42개의 손마다 눈을 그려 넣은 모습으로 표현된다. 둥근 광배를 배경으로 11개의 얼굴이 새겨진 보관을 쓴 천수관음보살은 정면에 합장한 손, 다리 위에 선정인을 한 손, 그리고 머리 위로 아미타여래를 받쳐 든 손과 다양한 지물을 든 19수를 합쳐 총 44개의 대수(大手)를 갖추고 바위 위 연화대좌에 결가부좌하고 있다.

화면 아래 왼쪽에 『 화엄경(華嚴經)』 「입법계품」의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을 찾아가 법을 구하고자 관음을 향해 합장한 모습과 화면 아래 오른쪽에 『법화경(法華經)』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제난구제(諸難救濟) 장면인 바위에서 떨어지는 사람을 손바닥으로 받는 '타락금강산(墮落金剛山)’ 장면을 표현하였다. 감색 바탕 위에 맑은 색채와 섬세한 필선을 사용하여 복잡한 구성을 지닌 천수천안관세음보살의 지물과 장신구를 균형이 있게 묘사하였다.

의의 및 평가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제난구제 장면과 『화엄경』 「입법계품」의 선재동자가 관음보살을 찾아가서 청문하는 장면의 수월관음도를 결합한 도상이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국내에서 유일한 천수관음보살도로, 고려 천수관음보살도의 양식을 볼 수 있는 불화이다. 2019년 3월 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김경미, 「조선 후기 이후 천수관음보살도의 도상과 신앙 고찰」(『불교학보』 83,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김정희, 「한국의 천수관음 신앙과 천수관음도」(『정토학연구』 17, 한국정토학회, 2012)
송은석, 「고려 천수관음도 도상에 대하여」(『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4, 삼성문화재단, 199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