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촌교회 ()

수촌교회
수촌교회
개신교
단체
1905년 한국에 진출한 미국 북감리회의 선교정책에 따라 설립된 교회.
이칭
이칭
수촌리교회, 수촌감리교회
정의
1905년 한국에 진출한 미국 북감리회의 선교정책에 따라 설립된 교회.
개설

수촌교회는 제암교회와 함께 1919년 3·1운동 기간 중 일제에게 피해를 입은 대표적 교회로, 1919년 4월 일제에 의해 교인이 학살되고 교당이 전소되었다.

연원 및 변천

수촌교회는 남양교회에서 파견된 김응태(金應泰)의 전도를 받은 정창하 등이 1905년 3월 10일 예배를 드림으로써 설립되었다. 1907년에는 초가 15칸을 매입하여 예배당으로 사용했고, 1918년 동석기(董錫基)가 남양교회에 부임하여 제암구역이 독립되면서 수촌교회는 제암교회와 같은 구역에 소속되었다.

내용

1919년 당시 전도사인 김교철(金敎哲)은 수촌교회 출신으로, 기독교인인 안종후·홍원식과 협의한 후 4월 3~4일 수촌리 교인과 주민을 인솔하여 깃발을 앞세우고 장안면에서의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 이 만세시위에는 2천여 명의 군중이 참여했으며, 우정면 주민들과 합세한 수촌리 주민들은 장안면(長安面)과 우정면(雨汀面)의 면사무소를 습격하고 이어 화수리(花樹里) 주재소에 쇄도하여 일본 경찰 1명 가와바타[川端豊太郞]를 타살하였다.

이 사건의 주모자가 수촌리 청년들이라고 생각한 일제는 4월 15일 새벽 보복에 나서 수촌리 가옥 42호 중 38호를 전소시켰고 많은 주민들이 총검에 희생되었다. 그리고 김교철(金敎哲)·김덕근(金德根)·김덕삼(金德三)·김명우(金明友)·김여근(金汝根)·김응식(金應植)·김응오(金應五)·김종학(金種學)·김황운(金黃雲)·김흥삼(金興三)·백순익(白順益)·이순모(李順模)·정순영(鄭淳榮)·차인범(車仁範) 등이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었다. 김교철은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수촌리와 제암리에서 일제가 저지른 만행의 참상은 당시 현장을 방문한 선교사 스코필드(F. W. Scofield)의 언론활동과 헨리 정(Henry Chung)의 The Case of Korea(1921) 등을 통해 세계에 널리 알려져 일제를 궁지에 몰아넣었으며, 일제의 통치정책의 변화에도 영향을 끼쳤다.

방화로 전소된 예배당은 1922년 4월 아펜젤러(H. G. Appenzeller)와 노블(W. A. Noble)의 지원을 받아 초가 8칸으로 신축되었으며, 1932년 현재 위치로 다시 이전되었다. 1953년 3월에는 목조 예배당(20평)을 신축했고, 1965년 6월 창립 60주년을 맞아 다시 양옥 예배당(57평)을 신축하였다. 1962년 3월에는 스코필드 박사가 참석한 가운데 사은회가 수촌교회에서 개최되었다.

현황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 중부연회 조암지방 소속 교회이다. 복원된 옛 예배당은 1986년 5월 20일 향토유적 제8호로 지정되었다. 규모는 전면 7.33m 측면 4.93m이고 내부는 마루와 방 2개, 부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수촌교회는 3·1운동 당시 교인들이 만세시위에 적극 참여했다가 일제로부터 혹독한 탄압을 받은 대표적인 교회로, 폐허가 된 마을과 전소된 교회, 비통에 빠진 교인들의 사진이 해외에 알려지면서 한국인의 독립의지와 일제 식민통치의 실상을 드러내는 데 영향을 끼쳤다.

참고문헌

『수촌교회 100년사』(수촌교회100년사편찬위원회 편, 기독교대한감리회 수촌교회, 2000)
『수원지방 3·1운동사』(홍석창, 1981)
『동아일보』(1962.3.21; 1987.2.26; 1989.4.13.)
The Case of Korea(Henry Chung, Fleming H. Revell company, 192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한규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