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 백자 운룡문 병 ( )

공예
작품
문화재
조선 후기 제작된 청화로 운룡문을 시문한 백자병.
내용 요약

청화백자운룡문병은 조선 후기 제작된 청화안료로 운룡문을 시문한 백자병이다. 몸체는 불룩한 형태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양감이 크게 표현되었다. 무게중심이 하단으로 축 처진 19세기 전형적인 병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시문된 용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특이한 형상으로 희귀한 예이다.

정의
조선 후기 제작된 청화로 운룡문을 시문한 백자병.
제작 배경

조선 후기 왕실 연회 때 주병으로 사용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형태 및 특징

청화백자운룡문병(靑華白磁雲龍文甁)은 아가리 끝이 살짝 외반(外反)된 형태로 긴 목은 직립하였다. 몸체는 불룩한 형태로 아래쪽으로 갈수록 양감이 크게 표현되었다. 무게중심이 하단으로 축 처진 19세기 전형적인 병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병에 시문된 운룡문은 용과 구름, 여의주 등을 표현하였다. 전대의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중화풍의 영향을 받아 세부적으로는 생략과 이완, 과장과 왜곡이 보인다. 용의 비늘의 농담 표현, 갈기의 방향과 상부 종속문 역시 전대의 형식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윤곽선을 먼저 칠한 후 여백으로 문양대를 둔 후 안쪽만 채색한 여의두형 구름들은 입체적으로 작고 거칠게 묘사되었다. 여의주 역시 같은 방식으로 채색하였다.

중앙의 용은 발가락이 네 개인 사조용(四爪龍)이어서 19세기 전반적인 용 발톱 수를 보이고 있다. 구도상으로는 화면 안에 용과 구름이 가득 차 있어 여백이 거의 없다. 굴곡이 심한 몸매에 용의 얼굴은 정면을 응시하고 갈기가 정면으로 가르마를 탄 모습으로 일반적으로 얼굴 측면이 묘사되는 조선 청화백자에 나타난 용의 모습과는 다르다. 유태색(釉胎色)도 밝고 투명하며 불순물이 거의 없다.

의의 및 평가

청화백자운룡문병은 용이 정면을 향하고 있는 희귀한 예로 가치가 높다. 2002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방병선,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문화』(민속원, 2016)

논문

방병선, 「운룡문 분석을 통해서 본 조선 후기 백자의 편년 체제」(『미술사학연구』 220, 한국미술사학회, 1998)

웹페이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집필자
방병선(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