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양각 시문 병 ( )

공예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 양각으로 시문이 조각된 백자병.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양각시문병(白磁陽刻詩文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08월 1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자양각시문병은 조선 후기 양각으로 시문이 조각된 백자병이다. 높이 28㎝의 백자로 안정감 있고 탄력 있는 타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당대 시문을 양각한 백자로 유사한 사례가 매우 드물어 사료 가치가 충분하다.

정의
조선 후기 양각으로 시문이 조각된 백자병.
제작 배경

백자양각시문병(白磁陽刻詩文甁)과 같이 시문(詩文)이 양각된 백자의 제작은 수요층의 확산이 급속히 진행되는 18세기 후반 정조 이후 기교자기가 유행하면서 비롯되었다.

형태 및 특징

백자양각시문병은 높이 28㎝이며, 바깥쪽으로 도통하게 살짝 말린 아가리와 일정한 굵기를 유지하며 길게 표현된 목, 하부로 쳐진 안정감 있고 탄력 있는 타원형의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무게중심이 아래로 처진 전형적인 19세기 주병의 기형을 지니고 있다. 굽은 얕고 형태의 마무리가 깔끔하다.

양질의 태토에 시유한 유약은 청백색을 띠며 광택이 좋다. 몸체에는 양각으로 정교하게 시문이 조각되었다. 조선 후기 양각, 투각 등 기교자기의 유행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양각된 시구는 중국 당대(唐代) 이백(李白)의 『장진주(將進酒)』의 일부로 음주의 즐거움과 중국 영웅들의 호방함을 주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인생에 뜻을 얻으면 모름지기 즐기기를 다할지니/ 달을 기다려 금 술동이를 비우지 마라./ 노닐지 않으면 무엇을 하리오./ 항우가 ‘장사로다’라고 한 홍문의 번쾌는/ 말 술도 마셨는데/ 이 술 한 잔을 마시지 못하겠는가[人生得意須盡歡 莫俟金樽空待月 非遊何爲 羽曰壯士鴻門樊噲 斗瓻酒能飮 此酒一盞不飮]”

의의 및 평가

백자양각시문병은 시문을 양각한 백자로 유사한 사례가 매우 드물어 사료 가치가 충분하다. 2002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방병선, 『조선후기백자연구』(일지사, 2000)

논문

구혜인, 「조선 후기 양각백자 연구」(『미술사학연구』 263, 한국미술사학회, 2009)

웹페이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