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유개호 ( )

공예
작품
문화재
조선 전기 제작된 백자 뚜껑과 항아리.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국립중앙과학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2009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481 (구성동, 국립중앙과학관)
내용 요약

백자유개호는 조선 전기 제작된 백자 뚜껑과 항아리이다. 높이 25㎝의 뚜껑을 갖춘 백자 항아리로,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몸체 외형은 구형에 가깝지만 무게중심이 아래로 처진 주판알 형태를 보인다. 무문백자로 빙렬이 없고 맑고 투명한 유백색 유약이 고르게 입혀져 조선 전기 백자를 대표한다.

정의
조선 전기 제작된 백자 뚜껑과 항아리.
형태 및 특징

백자유개호(白磁有蓋壺)는 높이 25㎝이며 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윗면 중앙에 보주형(寶珠形) 꼭지가 있고 외면은 2단 층단을 구성하여 턱이 져 있다. 15세기 전형적인 뚜껑의 형태로 외면 상단을 층단으로 조각한 것도 시대 양식을 따랐다.

뚜껑 안에는 7개의 내화토 흔적이 있어 뚜껑은 별도로 소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몸체 외형은 구형에 가깝지만 무게중심이 아래로 처진 주판알 형태를 보인다.

조선시대 항아리의 외형은 크게 매병형의 입호(立壺)와 둥근 원호(圓壺)로 나눌 수 있는데, 백자유개호는 원호에 해당한다. 조선 전기 원호의 기형적 특징은 구연부가 밖으로 말려 있으며 전반적으로 구연부의 지름이 굽의 지름보다 크다. 이 항아리는 이러한 형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몸체는 타원형으로 주판알과 흡사하고 무게중심이 약간 밑으로 처져 있다. 굽은 수직굽으로 모래 받침 흔적이 보여 역시 조선 전기 특징을 보여준다.

백자유개호 또한 순백자로 매우 밝은 색의 백토로 성형하였으며 일부 철분 흔적이 보이지만 대체로 잡물이 없다. 번조 시 자화(磁化)가 잘 되어 광택이 있고 태토와 유약의 팽창, 수축률이 같아 유면에는 빙렬이 전혀 없다.

의의 및 평가

백자유개호는 15세기 무문백자로 빙렬이 없고 맑고 투명한 유백색 유약이 고르게 입혀져 조선 전기 백자를 대표한다. 2009년 12월 23일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방병선,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문화』(민속원, 2016)
강경숙, 『한국 도자사』(예경, 2012)
방병선,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돌베개, 2002)

웹페이지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집필자
방병선(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