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청화 운현명 만자문 병 ( )

공예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 만자문과 운현 명문이 청화로 시문된 백자병.
작품/조각·공예
소장처
송암문화재단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백자청화운현명만자문병(白磁靑畵雲峴銘卍字文甁)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백자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6년 08월 04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45-14 (수송동, 송암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자청화운현명만자문병은 조선 후기, 만자문과 운현 명문이 청화로 시문된 백자병이다. 높이 31.5㎝의 병으로 종속문으로 주로 사용되는 만자문을 주제문으로 채택하였다. 굽 안 바닥에 고종의 사가이자 흥선대원군의 거처였던 '운현'명이 있다. 독창적인 사방연속 만자문 장식과 '운현' 명문을 통해 사용처와 주문처를 추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의
조선 후기, 만자문과 운현 명문이 청화로 시문된 백자병.
형태 및 특징

백자청화운현명만자문병(白磁靑畵雲峴銘卍字文甁)은 높이 31.5㎝이며, 아가리는 밖으로 살짝 말려 있으며 목은 기다랗게 곧게 내려오다가 서서히 넓어져 몸체 아래 부분에서 크게 팽창한다. 몸체 무게중심이 병 하단부에 있으며 굽이 넓은 편이다.

백자청화운현명만자문병은 종속문으로 주로 사용되는 만자문(卍字文)을 주제문으로 채택하였다. 아가리 바로 아래와 어깨 부분에 중복된 여의두(如意頭)와 파도문의 종속문대를 배치하고 그 아래 몸통 중심 가득 사방 연속의 만자문을 시문하였다.

만자문은 좌우로 빗금이 그어져 있으며 기하학적 형태로 교차하며 문양 크기를 병의 지름과 비례하여 시문하였다. 병의 지름이 가장 큰 하단 중앙부의 만자문이 가장 크고, 어깨로 올라가거나 굽으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줄어들어 기하학적 변용을 시도하였다.

굽 안 바닥에는 '운현(雲峴)'이라는 청화 명문을 해서(楷書)로 필사하였다. 백자는 수리, 복원된 곳 없이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운현(雲峴)'이라는 명문을 통해 유물이 운현궁에서 사용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운현궁은 고종(高宗)의 사가(私家)로 아버지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이 거처하던 곳이다. 1860년대 이후 광주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이다.

의의 및 평가

독창적인 사방연속 만자문(卍字文) 장식과 ‘운현’ 명문을 통해 사용처와 주문처를 추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016년 8월 4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방병선, 『도자기로 보는 조선왕실 문화』(민속원, 2016)
방병선, 『순백으로 빚어낸 조선의 마음, 백자』(돌베개, 2002)

웹페이지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