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악서원 ()

진주 남악서원 전경
진주 남악서원 전경
유적
국가유산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중건된 김유신 관련 서원.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진주 남악서원(南岳書院)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1983년 07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남 진주시 금곡면 죽곡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금곡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에 중건된 김유신 관련 서원.
개설

1919년 개국공(開國公) 김유신(金庾信)의 사당이 있었던 곳에 지방 유림들이 중건한 서원이다. 남악서원에는 김유신과 관련된 전설만 전해지지만 서원으로 승원하면서 경주 서악서원(西岳書院)의 사례에 따라서 유학자인 홍유후(弘儒侯) 설총(薛聰)과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을 함께 제향한 것으로 추정된다. 서원의 명칭은 동일한 인물들을 제향하고 있던 서악서원을 본 딴 것이며, 시습당(時習堂) · 도남문(道南門) 등의 건물 명칭도 유사하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역사적 변천

전설에는 김유신이 삼국통일을 완수하기 위해 전략상 요지를 찾아다니다가 현재의 남악서원 자리에서 신령을 만나 삼국통일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남악서원의 기원은 680년경에 세워진 김유신의 사당에서 창건 연대를 잡고 있으며, 서원으로 완성된 정확한 연대는 확인할 수 없다.

내용

건물들은 사당 · 서원 · 솟을대문이 남북의 축상에 놓여 있고, 서원 좌우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동 · 서재가 각각 마주 보고 있는 口자형 좌우대칭 배치의 전학후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솟을대문인 도남문을 지나면 정면에 강당이 위치해 있다.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오량가구(五樑架構) 팔작지붕으로 대청이 없고 툇마루가 확장되어 대청의 기능을 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강당의 서편 협실은 봉양재(鳳陽齋)이며, 강당의 정면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다. 동재는 편액이 없지만 서재는 시습당이란 편액이 걸려있다. 강당 뒤편 돌계단을 오르면 내삼문인 내사문(內祠門)이 있다. 내삼문을 지나면 사당인 남악사(南岳祠)가 있는데, 김유신 · 설총 · 최치원의 위패와 영정(影幀)을 봉안하고 있다. 남악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3량 구조 팔작지붕이며, 전퇴간(前退間)이 없다. 향사일은 매년 음력 3월 18일이다.

의의와 평가

남악서원이 중수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으나, 이미 그 이전부터 김유신의 내력이 전해오고 있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의 여러 위인들이 사당에 함께 모셔져 있다는 점에서 비교적 유래가 깊은 서원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 분포지도: 진주시』(진주시·경상대학교박물관, 2003)
『진주의 문화유산』(진주문화원, 1998)
『진주누정지』(진주문화원, 1995)
디지털진주문화대전(jinju.grandculture.net)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