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활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인, 이혜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인, 이혜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단활집(短豁集)』은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단활집』에 관한 기록은 『춘정집』 추보(追補), 『용재총화』 권8,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4의 예천군 명환(名宦),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해동잡록』 권3 등에 보인다. 『춘정집』과 『용재총화』에는 그 분량이 1질이라고 하였다. 현전하는 그의 시문은 『동문선』 권10에 수록된 「마천사사친당도(馬天使思親堂圖)」라는 한시 1수뿐이다. 효도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혜는 본관이 재령(載寧)으로, 강맹경(姜孟卿, 14101461)의 외조부이다. 키가 작고 입이 언청이였으므로(혹은 치아가 성글었기 때문에) 단활옹(短豁翁)이라 자호(自號)하였다. 일찍이 보주(甫州: 경북 예천) 태수가 되었을 때 정사(政事)를 잘한 공적이 있었다. 변계량(卞季良, 13691430)은 「권선달맹손행기보주이사군혜(權先達孟孫行寄甫州李使君惠)」라는 시를 지어(『춘정집』 권1), “단활의 새로운 시는 응당 상자 속에 가득한데, 벗들에게 부쳐서 보게 한들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短豁新詩應滿篋 何妨寄與故人看)”라고 그의 시재(詩才)를 칭찬하였다. 또 이혜로부터 시문집을 전달받고 「보주사이혜이침석견혜차전소자저시고일질이시답지 2수(甫州使李惠以寢席見惠且傳所自著詩藁一秩以詩答之 二首)」라는 시를 지어(『춘정집』 추보) 당(唐)나라 시인 맹호연(孟浩然, 689~740)에 비겼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도 이혜가 ‘시로 유명하다’고 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용재총화(慵齋叢話)』
『춘정집(春亭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잡록(海東雜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