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도교거집 ()

한문학
문헌
고려 전기의 무신, 강감찬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전기의 무신, 강감찬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에 대한 기사는 『고려사』 권94 「강감찬열전」,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강감찬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성남(城南)의 별장에서 살면서 『구선집(求善集)』과 함께 지었다고 한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낙도교거(樂道郊居)’라는 책의 제목으로 미루어 한적(閑適)과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즐거움을 읊은 것으로 짐작된다. 강감찬이 구주대첩(龜州大捷)을 이끈 무장(武將)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만년에 문집을 저술했음은 주목되는 일이다.

강감찬은 금주(衿州: 경기 시흥)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지략이 뛰어났다. 현종 때 거란 군대를 물리치고 개선하자 왕이 친히 영파역(迎波驛: 황해도 우봉)에 나아가 연회를 베풀고, 장군과 사병들에게 금화(金花)를 손수 머리에 꽂아주었다. 성품이 청렴하고 검속하여 집안 살림을 돌보지 않았다. 또한 체격이 왜소하고 외모가 못생겼으나 나랏일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송나라 사신이 그를 보고 “문곡성(文曲星: 글재주가 높은 사람을 칭찬하는 말)이 오랫동안 보이지 않더니 지금 여기에 계셨군요.” 하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절을 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그와 관련된 전설과 설화는 『고려사』 외에 『고려사절요』 권3의 「강감찬 졸기(卒記)」(현종 22년 8월)와 『신증동국여지승람』 권10의 경기도 금천현(衿川縣) 인물 조에 자세히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