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경시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김양경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김양경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김양경시집(金良鏡詩集)』에 관한 기록은 『허백당집(虛白堂集)』 권6과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성현(成俔, 1439~1504)이 「김양경시집서(金良鏡詩集序)」를 지었다. 후손 가구(可搆)가 한시 수십여 수(首)를 모아 유고(遺稿)를 편찬하였다고 한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동문선』에 한시 9수와 산문 5편이 전하고 있다. 그는 청신(淸新)한 시를 잘 지었는데, 〈서대관전보좌후장무일도상(書大觀殿黼座後障無逸圖上) 〉과 〈궁사(宮詞)〉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김양경은 본관이 경주(慶州)이고, 후에 인경(仁鏡)으로 개명하였다. 문(文)·무(武)·이(吏) 세 가지 재능을 겸비하였으며 예서(隸書)를 잘 썼다. 명종 때 과거에 급제하고, 조충(趙沖, 1171~1220)을 따라 거란을 토벌한 공로가 있었다. 1227년(고종 14)에는 수찬관(修撰官)으로 『명종실록』을 찬수하였다. 근체시(近體詩)와 부(賦)를 잘 지었으므로 「한림별곡(翰林別曲)」(『고려사』 권20 「악지(樂志)」 2)에서 “양경시부(良鏡詩賦)”라 칭송하였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보한집(補閑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허백당집(虛白堂集)』
「김인경 (金仁鏡)의 삶과 시」(이구의, 『동방한문학』 14, 동방한문학회, 1998)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