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집(南都集)』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 권99 「최유청열전」과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최자(崔滋)가 엮은 『보한집』(권상)에서는 최유청의 문집을 『문숙공가집(文淑公家集)』이라 하였는데, 『남도집』과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 문집이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자세히 알 수가 없다. 『동문선』에 한시 10여 수와 산문 50여 편이 남아 있으며, 전원생활의 한가로움을 읊은 「잡흥(雜興)」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한편 최유청은 왕명으로 『유문사실(柳文事實)』과 『이한림집주(李翰林集註)』를 편찬하였다. 이는 당(唐)나라 문인 유종원(柳宗元, 773819), 이백(李白, 701762)과 관련된 책들이지만, 모두 현전하지 않는다.
최유청은 본관이 창원(昌原, 강원도 철원)이고, 자가 직재(直哉)이다.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를 조직한 최당(崔讜, 1135~1211)의 아버지이다. 배우기를 좋아하여 경·사·자·집(經史子集)에 두루 정통하였고, 과거에 급제한 후에도 독서를 부지런히 하였다. 평소 그의 덕망이 무신들에게까지 감화를 주어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에도 화를 입지 않았다. 마음가짐이 정직하여 일대의 명신(名臣)으로 추앙받았으며, 날마다 불경을 외울 정도로 불교를 좋아하였다.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