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루창화집 ()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에, 충렬왕이 학사 김구, 승려 조영 등과 창화한 내용을 수록한 시문집.
이칭
이칭
용루집(龍樓集)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충렬왕이 학사 김구, 승려 조영 등과 창화한 내용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용루창화집(龍樓唱和集)』은 줄여서 『용루집(龍樓集)』으로 부르기도 한다. 현전하지 않아 서지와 내용을 알 수가 없다. 『용루창화집』에 관한 기사는 『역옹패설』 전집1, 『지포집』 권2, 『삼봉집』 권12, 『동인시화』 권하, 『해동문헌총록』의 「제가시문집(諸家詩文集)」 등에 보인다. 『역옹패설』에 의하면, 충렬왕(재위 1274~1308)과의 창화에는 김구와 조영 외에도 이송진(李松縉)이 참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동인시화』에는 고려시대에 예종, 인종, 명종, 충렬왕 등이 문아(文雅)·유아(儒雅)를 숭상한 군주라고 일컬었다. 예종은 『예종창화집((睿宗唱和集)』을 남긴 바 있다.

김구는 본관이 부안(扶安)이고, 자가 차산(次山)이다. 고종 때에 급제하고 문장이 당대에 최고였는데, 원나라 학사 왕악(王鶚, 11901273)이 김구가 지은 표문(表文)을 볼 때마다 칭찬하였다. 그러나 그가 최충헌(崔忠獻, 11491219) 부자의 총애를 받았으므로 사람들이 변변찮게 여겼다. 일찍이 서장관이 되어 원나라에 가서 『북정록(北征錄)』을 지었으나 전하지 않는다. 현전하는 『지포집』은 조선 정조 연간에 후손들이 『동문선』, 『고려사』 등에서 유문(遺文)을 수습한 것이다. 그는 『동문선』에 12수의 시가 뽑힐 정도로 고려시대의 주요 시인으로 꼽히며, 「과철주(過鐵州)」, 「낙이화(落梨花)」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한편, 조영은 행적이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으며, 『동문선』 권14에 7언율시 「척촉화응교(躑躅花應敎)」 1수가 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부전(不傳) 문집이라 그 의의를 구체적으로 논할 수 없으며, 다만 산견된 기록을 종합하여 문집의 존재를 밝힐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문선(東文選)』
『동인시화(東人詩話)』
『삼봉집(三峰集)』
『역옹패설(櫟翁稗說)』
『지포집(止浦集)』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김구론(金坵論)」(이경우, 『한국한시작가연구』 1, 태학사, 1995)
「『해동문헌총록』 소재 고려 문집 연구─부전(不傳) 문집을 중심으로」(김건곤, 『장서각』 18,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