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돌문화 ()

목차
관련 정보
주생활
개념
문화재
바닥 난방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총체적 주거문화.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무형문화재(2018년 04월 30일 지정)
소재지
기타
내용 요약

온돌문화는 바닥 난방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총체적 주거문화이다. 전통적인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붙여 그 열기가 고래를 통과하면서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직접 가열식 난방으로 취사와 난방이 동시에 가능한 구조였다. 온돌문화는 바닥 난방 및 생태환경 활용 기술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생활관습과 규범이 포함되어 있다. 기후환경에 지혜롭게 적응해 온 한국인의 창의성이 발현된 독특한 문화라는 점에서 2018년 4월 30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목차
정의
바닥 난방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총체적 주거문화.
내용

온돌은 열원을 이용하여 바닥을 데우고, 다시 바닥의 열기로 방안의 공기를 데우는 주1의 원리를 이용한 난방 방식으로, 실내에서 신을 벗고 바닥에 앉거나 눕는 좌식의 주생활 문화를 형성한 주요 원인이다. 중국 북부 지역에도 일부 공간의 바닥을 데워 사용하는 캉[坑]이 있지만, 방바닥 전면을 데우는 온돌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식이다.

집을 짓기 시작하던 신석기시대 움집에는 노(爐)에서 피운 불로 난방과 취사 및 조명을 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난방을 위한 노와 취사를 위한 부뚜막이 분리되었으며, 초기 철기시대가 되어서야 온돌의 원시형이라 할 수 있는 고래식 구들과 굴뚝 시설이 나타났다.

이후 바닥 난방의 주요 구조부인 주2는 'ㄱ'자형 고래, 쌍줄고래, 세줄고래와 같이 여러 줄의 고래로 진화하다가 고려 후기에 이르러서야 방바닥 전체에 고래를 설치하고 주3을 까는 전면온돌 구조의 완성을 보았다.

전면온돌이 시설되기 시작한 고려 후기 이래로, 온돌 설치가 가장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17세기다. 현상학적 계기는 임진왜란, 인조반정, 이괄의 난, 병자호란 등으로 파괴된 건축물을 복구하면서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여름 한발(旱魃)과 겨울 추위가 계속되는 이상기후에 있었다.

17세기 온돌의 설치가 지역과 계층 구별 없이 급증하자, 땔감 수급으로 인해 경제적 · 자연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였고, 온돌에 대해서는 긍정적 · 부정적 견해가 병존하였다. 그러나 온돌은 병증치료나 인간적인 배려 측면에서 효과를 발휘하여 점점 더 사회에 확대되었다.

온돌 사용의 증가에 따라 18세기에는 난방 효율 증대를 위한 건축적 변화까지 이끌어 냈다. 이전에 비해 온돌방의 칸을 적게 잡아 난방 체적을 줄였으며, 온돌방 주변에 수납공간이나 주4를 두어 열 완충공간을 만들었고, 다중창호를 설치하여 외부의 한기를 적극적으로 차단하였다.

건축적 변화까지 이끌어 낸 전통적인 온돌은 아궁이에서 장작이나 숯에 불을 붙여 그 열기가 고래를 통과하면서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직접 가열식 난방으로 취사와 난방이 동시에 가능한 구조였다. 근대 이후 열원이 연탄에서 가스, 기름, 전기 등으로 바뀌고 바닥에는 고래 대신에 온수파이프나 전기 패널을 설치하여 난방하면서 아궁이는 사라졌다.

연료를 주입하는 곳에서 바로 불을 피우는 것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취사를 위한 공간이 분리되었다. 건축재료도 불에 강한 철, 시멘트, 유리 등이 등장하면서 이전보다 화재에 대한 염려가 줄어들게 되었다.

온돌문화는 한국의 총체적인 주거문화로 바닥 난방 및 생태환경 활용 기술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생활관습과 규범이 포함되어 있다. 온돌을 통해 난방을 하는 생활방식은 주택, 실내건축, 가구의 형식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주어 한국을 대표하는 ‘온돌방’ 문화로 대중화되었다.

온돌문화는 오래전부터 전승되고 지속적으로 재창조되어 한국 사회의 주생활과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쳐온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유산으로 한반도가 처했던 혹한의 기후환경에 지혜롭게 적응하고 대처해 온 한국인의 창의성이 발현된 문화라는 점에서 가치가 인정되어 2018년 4월 30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의식주생활사전-주생활』(국립민속박물관, 2019)

기타 자료

「온돌문화」(국가무형문화재지정 고시문, 2018. 5. 2.)
주석
주1

기체나 액체에서, 물질이 이동함으로써 열이 전달되는 현상. 기체나 액체가 부분적으로 가열되면 가열된 부분이 팽창하면서 밀도가 작아져 위로 올라가고, 위에 있던 밀도가 큰 부분은 내려오게 되는데, 이런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기체나 액체의 전체가 고르게 가열된다.    우리말샘

주2

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    우리말샘

주3

방고래 위에 깔아 방바닥을 만드는 얇고 넓은 돌.    우리말샘

주4

툇간보다 밖에 만든 좁은 간살의 공간으로 복도처럼 각 공간을 긴밀하게 연결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