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석하(石霞) 권영철(權寧徹)이 소장하고 있던 것을 1992년에 박규홍이 학계에 공개 보고한 자료이다. 『고시헌서가사집』은 본래 유효 기간이 지난 『시헌서(時憲書)』에 필사되어 있는 가사 13작품과 시조 1수를 말한다. 시가가 실려 있는 『시헌서』는 모두 59책인데, 6책은 단권씩이고, 나머지 53책은 한데 묶여 있다. 『시헌서』의 크기는 가로 16㎝ 정도이고 세로가 30㎝ 정도이다. 겉표지와 속표지를 제외하면 모두 15장(30면)으로 되어 있는데, 앞뒤 겉표지를 떼어낸 채 오래된 것부터 묶어져 있다. 『시헌서』 6책은 그 연대가 오랜 것이 1796년(정조 20)이고, 늦은 것이 1889년(고종 26)이다. 그러나 나머지 53책은 1709년(숙종 35)부터 1761년(영조 37)까지 53년간 하나도 빠짐없이 차례도 어긋남 없이 묶여 있다. 53년 동안 53책을 모은 사람은 1761년 최종의 『시헌서』 말미에 장인의 제문을 지은 김시빈(金始鑌)으로, 조정에서 벼슬을 한 경남(慶南) 거창(居昌) 출신이다. 『시헌서』의 기록으로 볼 때, 김시빈의 출생 연도는 1680년(숙종 6)이고, 그의 몰년은 최종 『시헌서』의 연대인 1761년 이후로 추측할 수 있다. 가사를 필사한 사람과 김시빈의 관계는 확실하지 않지만 『시헌서』가 정성스럽게 묶여진 것으로 볼 때, 가인(家人)에 의해 필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고시헌서가사집』에는 가사 13작품, 시조 1수가 필사되어 있는데, 차례대로 『시헌서』의 연대와 필사된 내용들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형태 | 시헌서 연대 | 작품 및 작자 | |
---|---|---|---|
1 | 가사 | 병인(丙寅 1746년: 영조 22) | 옥설가(玉屑歌) |
2 | 가사 | 을축(乙丑 1745년: 영조 21) | 여승가(女僧歌), 회심곡(回心曲) |
3 | 가사 | 갑자(甲子 1744년: 영조 20) | 권면행실가(勸勉行實歌: 文參議所作)) 춘면곡(春眠曲), 호남가(湖南歌) |
4 | 가사 | 계해(癸亥 1743년: 영조 19) | 상사별곡(相思別曲) |
5 | 가사 | 무오(戊午 1738년: 영조 14) | 남초가(南草歌) |
6 | 가사 | 병진(丙辰 1736년: 영조 12) | 충효가(忠孝歌) |
7 | 가사 | 을묘(乙卯 1735년: 영조 11) | 노인가(老人歌) 옥경몽유가(玉京夢遊歌: 福川 李太守自作) |
8 | 가사 | 갑인(甲寅 1734년: 영조 10) | 옥경몽유가(玉京夢遊歌), 계속 이어짐 사군별곡(四郡別曲) |
9 | 가사 | 계축(癸丑 1733년: 영조 9) | 망미인가(望美人歌: 李太守自作) 충효가(忠孝歌: 福川 李太守自作), 머리 부분만 필사 |
10 | 가사 | 신해(辛亥 1731년: 영조 7) | 충효가(忠孝歌) |
11 | 가사 | 경술(庚戌 1730년: 영조 6) | 춘면곡(春眠曲), 머리 부분만 필사 |
12 | 시조 | 병신(丙申 1716년: 숙종 42) | 시조 〈靑天에 우ᄂᆞᆫ 鶴아 春景을 願치 마라 春景이 됴타ᄒᆞᆫᄃᆞᆯ 雪景과 ᄀᆞᆺᄐᆞᆯ소냐 雪景이 됴타ᄒᆞᆫᄃᆞᆯ 月景과 ᄀᆞᆺᄐᆞᆯ손가〉 |
『고시헌서가사집』에 필사된 시가 작품들은 새로운 작품군과 당대 유행하고 있던 작품군으로 분류된다. 문참의의 〈권면행실가〉, 이태수 자작인 〈옥경몽유가〉, 〈망미인가〉, 〈충효가〉, 〈사군별곡〉 등과 같은 대부분의 작품들은 작자와 창작 연대를 밝힐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있고, 새로운 작품인 시조 1수를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가문학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