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상교 ()

한문학
인물
조선후기 충주목사, 동지돈령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 종교인.
이칭
이칭
우촌(雨村), 삼수당(三秀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84년(정조 8)
사망 연도
1866년(고종 3)
본관
의령(宜寧)
출생지
충청남도 충주
주요 관직
목사(牧使)|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관련 사건
병인박해(丙寅迫害)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충주목사, 동지돈령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문인 · 종교인.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초명은 상중(尙中). 자는 문숙(文叔), 호는 우촌(雨村)·삼수당(三秀堂). 충주 출신. 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이며, 어머니는 이기풍(李基豊)의 딸 이씨(李氏)이다. 5대조인 남익훈(南益熏)이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판·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이후로 고조부인 남기명(南紀明)은 평택현감에 그쳤고, 증조부인 남태헌(南泰憲)은 호조정랑에 그쳤으며, 조부인 남규로(南奎老)와 아버지인 남이우는 벼슬을 하지 못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남상교는 이세기(李世夔)의 딸 연안 이씨(1779∼1827)와 결혼하였으나, 48세에 혼자가 되는 불운을 맞는다. 늦은 나이인 55세에 진사에 합격하고 벼슬이 현풍현감(玄風縣監)·충주목사를 거쳐 1865년(고종 2)에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를 제수받았다.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이다. 1827년(순조 27)에 북경에서 영세, 입교하였고,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였다. 동생 남탄교(南坦敎)의 아들 남종삼(南鍾三)을 입양하여 입교시켰고, 천주교 교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1866년 병인박해 때 아들 남종삼은 새남터에서, 남상교는 공주 진영(鎭營)의 옥에서 83세로 세상을 떠났다.

남상교는 순교한 천주교 신자일 뿐 아니라 선정 치리자로서도 칭앙을 받았다. 현풍현감(1837년 12월∼1840년 12월)을 지냈을 당시, 일가족이 현풍에 3년 동안 살았는데 흉년이 들어 어려움에 처한 백성들을 도왔기 때문에 그 덕을 기려 청덕비가 세워졌다. 이 비는 현풍 사무소에 있다가 1974년 5월 27일 절두산 성지로 옮겨졌다.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과 더불어 실학을 추구하였으며, 덕망 높은 치리자와 농산 학자로서도 이름을 날렸다.

남상교는 정약용, 이학규(李學逵, 1770∼1835) 이후 남인계 시인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이자 한시문에 능한 문학가로서 당대에 널리 알려져 있었다. 남상교와 직접 교유한 홍한주(洪翰周, 1798∼1868)는 저서 『지수염필(智水拈筆)』에서 그의 시를 일컬어 ‘시인(詩人)의 시’라고 극찬하였다.

남상교는 주로 연작형 시를 즐겨 지었는데,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을 읊은 18수 연작시인 〈미인시(美人詩)〉를 비롯하여 〈산거절구(山居絶句)〉, 〈병중서사(病中書事)〉, 〈유서(柳絮)〉 등이 널리 읽혔으며 많은 시들이 『우촌시고(雨村詩藁)』, 『삼수당시집(三秀堂詩集)』, 『청랑간관초고(靑琅玕館初稿)』에 전한다.

참고문헌

『우촌시고(雨村詩藁)』
『삼수당시집(三秀堂詩集)』
『청랑간관초고(靑琅玕館初稿)』
『의령남씨족보(宜寧南氏族譜)』
『103위 성인전』(박노연 외, 을지출판사, 2004)
『현풍 본당 25년사』(대구대교구 천주교 현풍교회, 1996)
『한국 본당의 역사』(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근세조선정감』 상(박제형 저, 이익성 역, 탐구당, 1975)
『한국천주교회사』(유홍열, 가톨릭출판사, 1975)
「우촌 남상교 시 연구」(이현일, 『한국한문학연구』 42, 한국한문학회, 2008)
「남상교 〈미인시〉의 연정가사적 성격」(김팔남, 『어문연구』 46, 어문연구학회,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