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여승가 ()

고전시가
작품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이칭
이칭
승답사(僧答辭)
목차
정의
1723년경에 남철이 지은 연정가사.
구성 및 형식

1723년(경종 3)경에 도사(都事)와 참판(參判)을 지낸 남철이 소년 시절 옥선(玉禪)이라는 여승을 사모하여 지은 연정가사이다. 고려대학교 소장본 『악부(樂府)』와 필사본 『전가보장(傳家寶藏)』, 『가사집(歌詞集)』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위항 시인인 추재 조수삼(趙秀三, 1762∼1849)의 『추재집(秋齋集)』에는 자신의 경험을 직접 기록한 7언 절구의 한시 「삼첩승가(三疊僧歌)」와 그 시서(詩序)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토대로 가사 「승가」의 실존 여부와 작자 및 창작 연대를 추론할 수 있다. 「송여승가」는 실존 인물이 지은 총 5작품(1첩 「승가타령」, 2첩 「송여승가」와 「승답사」, 3첩 「재송여승가」와 「여승재답사」)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연작 가사 중 2첩에 포함된 작품인데, 보내고 답하는 수창(酬唱) 형식의 편지 왕래형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여승이 구애의 편지에 대답하는 「승답사(僧答辭)」가 짝을 이룬다.

내용

「송여승가」는 4음보 1행 기준으로 71행이다. 남 참판이 젊었을 때, 길에서 우연히 만나 동행한 여승에게 연정을 품고 자신의 사랑을 받아 달라고 하소연하는 내용의 장형 가사이다. 구성은 서사, 본사, 결사로 나뉘는데, 서사(1∼4구)에서는 소문난 여승의 미모를 한번 보기를 소원했는데, 길에서 우연히 만난 기쁨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인다. 본사(5∼132구)에서는 승복을 입은 여승의 초라한 외모와 세속 여인들의 화려한 모습을 대조하여 여승을 회유하는가 하면, 이별 후에 겪는 사모의 마음, 괴로움, 꿈속 상봉 기원, 상사병에 시달리는 고통 등을 간절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답신을 당부하고 있다. 결사(133∼142구)에서는 대장부 한 목숨을 살려 달라고 애원하는 내용으로 편지를 맺는다.

남 참판의 첫 번째 구애 편지에 대한 여승의 답서인 「승답사」는 총 82구이다. 불가에 귀의하기까지의 자신의 불행한 일생과 인간적인 욕망을 버린 지 오래라는 것, 편지를 받고 답서를 쓰기까지 혼란스러웠으나 자신의 성품을 볼 때, 남의 첩 노릇을 할 수 없다는 내용의 답신이다. 「삼첩승가」는 5작품으로 이어지는 남녀 사랑의 미묘한 감정 변이를 연작 가사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참고문헌

『추재집(秋齋集)』(조수삼)
『악부(樂府)』(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전가보장(傳家寶藏)』(필사본)
『가사집(歌詞集)』
『한국 고시가의 연구』(이상보, 형설출판사, 1975)
『교본역대시조전서』(심재완 편, 세종문화사, 1972)
「연정가사 「승가」의 실상 고찰」(김팔남, 『어문학』81, 한국어문학회, 2003)
「편지 왕래형 구애가사 연구」(김유경, 『연민학지』5, 연민학회, 1997)
「불교가사의 연구(하)」(이상보, 『명대논문집』3, 명지대학교, 197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