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선제지화학공업주식회사 ()

근대사
단체
1934년 일본 제지업계의 대표 기업인 오지제지(王子製紙)가 함경북도 길주(吉州)에 설립한 자회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34년 일본 제지업계의 대표 기업인 오지제지(王子製紙)가 함경북도 길주(吉州)에 설립한 자회사.
설립목적

함경도 일대의 산림자원을 이용하여 각종 펄프 및 지류의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백두산 일대의 낙엽송(落葉松)을 이용하여 인견 펄프를 생산하는 것이 주 목적이었다.

연원 및 변천

북선제지화학공업주식회사는 1934년 공장 건설에 착수하여 1935년 12월 시설을 완공하고 시험 가동에 들어갔다. 자본금 2000만 원, 최초 500만 원이 불입되었다. 오지제지가 50%의 지분을 보유하였고, 식민지 국책회사들인 동양척식주식회사, 조선은행, 조선식산은행 등이 출자하였다. 이는 북선제지가 당시 식민지 공업화를 추진하던 조선총독부의 관심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화신백화점 박흥식도 대주주로 참여하였으며, 본사는 경성부 황금정 2정목 195에 있었다.

초창기 시설 규모는 연간 인견 펄프 2만 톤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이었고, 여기에 필요한 목재는 조선총독부와 10년 계약을 통해 함경도에서 벌목하여 연간 38만 석(石)을 조달하였다. 이후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장하여 1939년경에는 연간 2만 7000톤 생산이 가능해졌다. 전시체제기에 접어들어서는 주요 군수공장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였다. 일본군의 요청에 응하여 군용 목재 공급에 주력하였고, 역시 군수용인 주정(酒精), 점결제(粘結劑) 생산에도 참여하였다.

한편 1000만 원의 규모로 계획된 군산공장 건설은 1943년부터 구체화되어 이듬해 2월에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았다. 적송(赤松)을 원료로 펄프를 제조하고, 여기에 기존 함경도 길주공장 생산 펄프를 혼입하여 신문지, 교과서 등 인쇄용지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필요 설비는 모회사인 오지제지의 기존 설비를 이설하여 설치하고자 하였다. 군산공장은 1944년 10월 완공되어 가동에 들어갔다.

의의와 평가

북선제지는 1930년대 일본 재벌기업이 진출하여 설립한 대표적 제지공장으로, 식민지 공업화의 구체적 과정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 군산공장은 해방 후 귀속기업체로 미군정에 접수되었고, 정부 수립 후 이관되어 민간에 불하되었는데, 초창기 국내 제지업계를 주도하였다. 북선제지 군산공장은 1954년 고려제지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현재 페이퍼코리아라는 사명(社名)으로 존속하고 있다.

참고문헌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中村資良編, 東亞經濟時報社, 1935~194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db.history.go)
카인즈(www.kinds.or.kr/)
페이퍼코리아(web.papercorea.co.kr/)
집필자
배석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