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대광사 석문홍각범임간록 ( )

불교
문헌
문화재
1468년(세조 14) 경상도 상주에서 판각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인쇄한 불서.
이칭
약칭
임간록(林間錄)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시대
간행 시기
조선 후기
저자
혜홍 각범(惠洪 覺範)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석문홍각범임간록(石門洪覺範林間錄)
판본
목판본
표제
임간록(林間錄)
소장처
대광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5년 10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해대로 303 대광사
내용 요약

창원(昌原) 대광사(大廣寺) 『석문홍각범임간록(石門洪覺範林間錄)』은 1468년(세조 14) 경상도 상주에서 판각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인쇄한 불서이다. 북송시대 혜홍 각범이 찬술한 300여 편의 선어록으로, 중국 선종의 초조 달마대사, 5조 홍인, 6조 혜능, 종밀 및 한국의 원효, 의천 등 90여 승려들의 생애와 행적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금강경』, 『유마경』, 『수능엄경』, 『대반열반경』, 『법화경』, 『종경록』 등의 경전과 『대지도론』 등의 논서를 인용하여 불교의 근본 가르침을 제시하고 있다.

정의
1468년(세조 14) 경상도 상주에서 판각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인쇄한 불서.
저자

저자는 북송시대에 활동한 선승이자 문자선(文字禪)의 창시자인 혜홍 각범(惠洪 覺範, 1071-1128)이다. 혜홍 각범은 적음존자(寂音尊者), 원명대사(圓明大師)로도 불린다.

서지사항

창원 대광사 도서인 『석문홍각범임간록』은 상 · 하 2권 1책의 목판본(木板本)이다. 표지 서명은 ‘임간록(林間錄)’이며, 권수제(卷首題)는 ‘석문홍각범임간록(石門洪覺範林間錄)’, 판심제(版心題)는 ‘임간록(林間錄)’으로 확인된다.

제책(製冊)의 형태는 오침안 선장본(五針眼 線裝本)이며, 판식(板式)은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의 크기는 세로 18.3㎝, 가로 13.1㎝이다. 본문에는 계선이 없으며(無界), 반엽(半葉)은 10행 20자, 판심은 상하백구(上下白口), 판심어미(版心魚尾)는 상하향무어미(上下向無魚尾)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크기는 세로 25.5㎝, 가로 18.5㎝이며, 종이의 재질은 주1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말에 “성화4년무자세 조선국간경도감 봉교 어경상도상주 중수(成化四年戊子歲 朝鮮國刊經都監 奉敎 於慶尙道尙州 重修)”라는 주2가 있어, 1468년(세조 14) 간경도감에서 봉교(奉敎)하여 경상도 상주에서 중수(重修)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확한 간행 장소와 발간자는 알 수 없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300여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총림(叢林)에서 전해지는 각종 유훈(遺訓), 경전 · 논서의 핵심 가르침, 참선 수행자들의 행적, 선가에서 고래로부터 전해지는 가르침, 심지어 주3 등의 가르침도 수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 금강경』, 『 유마경』, 『수능엄경』, 『 대반열반경』, 주4』, 『종경록』 등의 경전과 주5』 등의 논서를 인용하여 불보살의 핵심 가르침을 기술하고 있다.

역경승으로 강승회, 구마라집 등의 행적을 기술하고 있고, 임제선사, 석두선사 등의 중국 선종 선사 90여 명의 행적과 깨달음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사일(謝逸)이 작성한 서문〔홍각범임간록서... 임천사일찬...대관원년십일월일서(洪覺範林間錄序...臨川謝逸撰...大觀元年(1107)十一月日序)〕을 권두(卷頭)에 수록하고 있다.

권말의 『임간록후집(林間錄後集)』 또는 『신편홍각범임간후록(新編洪覺範林間錄後錄)』 1권은 부록 또는 속집(續集)이라고도 하는데, 혜홍 각범이 직접 지은 찬(讚) 26수 및 시(詩) 6수를 싣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1468년(세조 14) 간경도감에서 왕명으로 경상도 상주에서 판각한 판본을 저본으로 하여, 임진왜란 이후에 인쇄한 후쇄본(後刷本)이다. 특히 이 책은 선종의 총림에서 전하는 선승들의 유훈이나 예부터 전해지는 선사들의 수행과 그 깨달은 내용을 담고 있어 선가에서 애독되는 문헌이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10월 29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혜홍, 『임간록』 상·하(『선림고경총서』 7·8, 장경각, 1989)

논문

홍재덕, 「원효대사의 오도설화에 대한 연구-『종경록』과 『송고승전』과 『임간록』의 기사를 중심으로-」(『대동문화연구』 8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정상흥, 「북송 시승 혜홍과 그의 문자선」(『백련불교논집』12권, 성철사상연구원, 2002)

인터넷 자료

경상남도도청(https://gyeongnam.go.kr/)
문화재청 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불광대사전(http://buddhaspace.org/)
영남대학교 도서관(https://slima.yu.ac.kr/)
창원시청(https://www.changwon.go.kr/)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http://www.cbeta.org/)
주석
주1

닥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우리말샘

주2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주3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65?~B.C.270?). 이름은 주(周). 도가 사상의 중심인물로, 유교의 인위적인 예교(禮敎)를 부정하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자연 철학을 제창하였다. 현종이 ‘남화진인’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저서에 ≪장자≫가 있다.    우리말샘

주4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5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명우(동의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