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원각사 육조대사법보단경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원각사에 있는 1479년(성종 10) 백운산 병풍암에서 간행된 불교서.
이칭
약칭
양산 원각사 단경, 양산 원각사 육조단경, 양산 원각사 법보단경, 양산 원각사 육조법보단경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79년(성종 10)
저자
혜능(慧能)
편자
법해(法海)|덕이(德異)
권책수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원각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17년 1월 5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양산시 위천1길 48 (상북면) 원각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양산(梁山) 원각사(圓覺寺) 『육조대사 법보단경(六祖大師 法寶壇經)』은 경상남도 양산시 원각사에 있는 1479년(성종 10) 백운산 병풍암에서 간행된 불교서이다. 『육조대사 법보단경』은 중국 선종의 6조인 혜능의 생애와 가르침을 모은 선어록이다. 서문에 따르면 혜능(慧能)이 소주자사 위거(韋璩)의 간청에 따라, 소주의 대범사에서 대중을 위해 계를 주고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였을 때, 그 설법한 내용을 제자 법해(法海)가 기록한 것이다. 이 책은 동아시아 선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원각사에 있는 1479년(성종 10) 백운산 병풍암에서 간행된 불교서.
저자 및 편자

저자는 중국 당나라 때 활동한 선종 6대조이자 남종선 창시자인 육조 혜능(慧能, 638~713)이다. 편자는 법해(法海), 몽산 덕이(蒙山 德異)이다. 서문에 따르면 혜능이 소주자사(韶州刺史) 위거(韋璩)의 간청에 따라, 소주의 대범사(大梵寺)에서 대중을 위해 계를 주고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했을 때, 그 설법한 내용을 제자 법해(法海)가 기록한 것이다.

서지사항

형식은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묶어 만든 선장본(線裝本)이다. 판식(板式)은 사방을 한 선으로 둘러싼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각(半郭)의 크기는 세로 19.7㎝, 가로 15㎝이다.

본문에는 계선이 있으며(有界), 각 장의 한 면의 행자수(半葉)는 10행 17자, 판심은 판구의 중심에 선이 없는 상하백구(上下白口), 판심어미(版心魚尾)는 상하내향4엽화문어미(上下內向四葉花紋魚尾)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26.6㎝, 가로 19.2㎝이며, 종이 재질은 저지(楮紙)로 인쇄되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말(卷末)에 “성화15년기해5월일 백운산병풍암 개판(成化十五年己亥五月日 白雲山屛風庵 開板)”이라는 기록이 있어 1479년(성종 10)이라는 간행 연도와 백운산 병풍암이라는 간행 장소를 명확하게 남기고 있다.

구성과 내용

『육조대사 법보단경』은 수많은 이본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돈황본(敦煌本) · 혜흔본(惠昕本) · 계숭본(契嵩本) · 종보본(宗寶本) · 덕이본(德異本) · 조계원본의 6종류가 있다. 이 중에 가장 오래되고 원형에 가깝다고 하는 것은 돈황본이다.

돈황본에는 ‘남종돈교최상대승마하반야바라밀경 육조혜능대사어소주대법사시법단경 1권 겸수무상계홍법제자집기(南宗頓敎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 六組慧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 一卷 兼受無相戒弘法弟子法海集記)’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이처럼 법해의 집기가 표기되어 있어 법해본(法海本)이라고도 한다.

혜흔본은 모두 일본에서 발견되었는데, 발견 사찰 이름을 따서 진복사본(眞福寺本) · 대승사본(大乘寺本) · 흥성사본(興聖寺本)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널리 애독되는 것은 중국 원나라 시대 1290년에 간행된 덕이본이다.

양산 원각사 『육조대사 법보단경』은 김해 여여정사 『육조대사 법보단경』과 동일하게 ‘육조법단경서 고균비구 덕이 찬’이라는 서문이 있기 때문에 덕이본을 인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상 · 하 1권, 전체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장에서는 대범사의 설법, 35장에서는 훈시와 수계, 6장 이하에서는 제자들의 질문, 삼과법문의 전수, 입적의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혜흔본〔흥성사본(興聖寺本)〕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연기설법문: 대범사의 설법 및 『육조법보단경』 성립 유래
  • 오법전의문: 5조 홍인을 만나 법을 전수받는 과정
  • 위시중설정혜문: 좌선의 교시
  • 교수좌선문: 좌선의 교시
  • 설전향참회발원문: 참회, 계율
  • 설일체삼신불상문: 자성의 삼신불
  • 설마하반야바라밀문: 반야바라밀의 교지 등
  • 문답공덕급서방상상문: 달마의 ‘공덕이 없다’라는 의미
  • 제종난문문: 『육조법보단경』의 상속
  • 남북2종견성문: 북종선과 남종선
  • 교시십승전법문: 3과 법문, 유훈과 입적 등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1479년(성종 10)이라는 정확한 간행 연도와 백운산 병풍암이라는 간행 장소가 기록되어 있어 15세기 후반의 목판 판각 인쇄 기술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1월 5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48권

단행본

혜능, 『평설 육조단경』(강경구 역주, 세종출판사, 2020)
성철 해설, 『돈황본 육조단경』(장경각, 2015)
양기봉 옮김, 『육조단경』(김영사, 2005)
정승석 편, 『불전해설사전』(민족사, 1989)

인터넷 자료

경상남도청(http://www.gyeongnam.go.kr/)
국가유산청 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집필자
김명우(동의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