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중직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인천 앞 도서 지역과 황해도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다 옥중에서 순국한 독립유공자.
이칭
이명
송중식(宋重植)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9년(?)
사망 연도
1928년 5월 18일
출생지
황해도 송화
대표 상훈
2014년 건국훈장 독립장
내용 요약

송중직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부에서 파견된 윤응념과 함께 1923년 인천 앞 도서 지역과, 1925년 황해도 송화 일대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다가 각각 징역 6년과 10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한 독립유공자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인천 앞 도서 지역과 황해도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다 옥중에서 순국한 독립유공자.
인적 사항

송중직(宋重稙)은 1899년(추정) 황해도 송화에서 출생하여 1928년 5월 18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주요 활동

송중직은 1919년 3 · 1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평양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0년 상하이 임시정부 교통부에서 파견되어 황해도 송화 일대에서 동지를 규합하고 있던 주1을 만나 독립운동 참여를 제안받고 이를 수락하였다. 윤응념은 1919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한 이후 임시정부 교통부 참사가 되어 수차례 국내에 들어와 독립운동을 벌이고 있었다.

송화 신흥학교(信興學校) 교사로 재직 중이던 송중직은 1922년 4월 상하이 임시정부 교통부의 명령을 받아 중국인으로 위장하고 다시 국내에 들어와 권총과 실탄을 입수한 운응념을 만나 윤도중 · 이동진 · 최수연 등과 함께 독립운동 자금 모금에 관하여 협의하였다.

이들은 인천 앞 도서 일대에서 유지들을 찾아가 자신들은 상하이 임시정부 독립단원이라고 밝히면서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500원 공채권(公債券)의 구매를 요청하였고, 협조하지 않으면 사살하겠다고 위협하였다. 이들은 대부도에서도 같은 활동을 벌여 유지로부터 서약서를 받기도 하였다. 윤응념은 상하이 임시정부와 연락하기 위하여 일본인으로부터 선박을 구입하기도 하였다가 일제 경찰에게 발각되면서 동지들과도 함께 검거되었다. 이 사건은 세간의 이목을 끌으며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다.

송중직은 1923년 9월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8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 1924년 1월 징역 6년으로 감형되었고, 12월 복막결핵으로 형집행이 정지되어 석방되었다. 이후에도 그는 1925년 8월과 10월에 강창교 · 김은성 · 김재도 · 이태형 · 임택종 등과 함께 황해도 송화와 은율 등지에서 다시 상하이 임시정부 요원이라고 자처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다가 체포되었다. 1926년 1월 해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0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1928년 5월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2014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요주의인물 및 형집행정지자의 행동에 관한 건」(『검찰사무에 관한 기록』 2, 1925. 6. 8.)

단행본

양윤모, 『인천 지역의 민족운동』(보고사, 2020)

신문

「상해임시정부 팔고 군자 강청하다 피착」(『동아일보』, 1925. 12. 16.)
「시국표방한 강도일단 6명을 일망타진」(『조선일보』, 1925. 12. 11.)
「윤응념사건의 예심종결서의 전문」(『조선일보』, 1923. 8. 2.)
「인천 부근 일대의 부호를 전율케 하는 윤응념일파의 예심 종결」(『동아일보』, 1923. 8. 1.)
「인천군도에 출목하던 해상강도단 일망검거」(『매일신보』, 1923. 5. 20.)
「인천을 중심으로 한 중대사건의 진상」(『동아일보』, 1923. 5. 20.)
「인천중대사건의 전말」(『조선일보』, 1923. 5. 20.)

판결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23. 9. 25.)
「판결문」(경성지방법원, 1923. 7. 31.)
주석
주1

독립운동가. 서울 출생. 황해도 재령(載寧)에서 그리스도교도로서 독립운동에 참가, 김마리아(金瑪利亞) 등을 국외로 탈출시켰다. 1923년 상하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 참사(參事)로 있으면서 독립단을 조직하고 단장이 되었다. 군자금을 모금하기 위하여 인천에 잠입했다가 체포되어 15년형을 선고받고 병보석 중 중국으로 탈출하였다.    바로가기

집필자
한규무(광주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