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상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 일본 왕의 노인 은사금을 거절하여 수감 중 단식하여 순국한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
이칭
승여(昇如)
초명
김영조(金永朝)
오계(鰲溪), 춘우정(春雨亭)
이명
김승화(金昇和)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6년(헌종 2) 3월 18일
사망 연도
1911년 5월 9일
본관
도강(道康)
출생지
전라북도 정읍
주요 저서
춘우정문고(春雨亭文稿)
대표 상훈
대통령 표창(1963)|건국훈장 애국장(1991)
내용 요약

김영상은 대한제국기인 1906년 태인의병에 참여하였으며, 1910년 한국을 강제 병합한 일제가 주는 은사금을 거부하고 체포되어 압송되는 도중에 만경강에 투신하여 자결하려 하였으며, 군산형무소에 수감되어 단식 끝에 순국한 독립유공자이다.

정의
조선 후기 일본 왕의 노인 은사금을 거절하여 수감 중 단식하여 순국한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김영상(金永相)은 1836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김경흠과 나주오씨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16세에 고향인 정읍 칠보면 무성리 원촌으로 이사하여 18세에 인척인 김인흠, 23세에 김기에게 수학하고, 50세에 소휘면(蘇輝冕)의 제자가 되었으며, 기정진 · 송병선(宋秉璿) 등과도 교유하였다. 1911년 5월 9일 옥중에서 단식, 순국하였다.

주요 활동

김영상은 태인 무성서원(武城書院)의 주1로 있던 중 1905년 11월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국권을 빼앗기자 70세의 고령임에도 최익현 · 임병찬 등과 함께 태인의병에 참여하였다고 한다. 1906년 6월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켰을 때 총참모장이 되어 지역 유생들을 참여하게 하였다.

최익현이 주2에서 순국하자 1907년 태산사(台山祠)를 건립하고 그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이때 김영상은 유림들의 요청으로 태산사 주3을 지었고 한동안 태산사에 머물렀다.

1910년 8월 한국을 강제 병합한 일제가 10월 노인들에게 주4을 주려 하자 “대한신민(大韓臣民)이 어찌 원수의 돈을 받겠는가.”라며 이를 수차례 거절하면서 사령장에 적힌 자신의 성명을 찢어버렸다고 한다. 이에 1911년 5월 일제가 일왕을 모독한 불경죄로 그를 체포하여 동곡헌병대에 구금하였다가 군산으로 압송할 때 만경강 사창진(沙瘡津)에서 투신하여 자결하려 하였으나, 헌병이 그를 구출하여 실패하였다. 군산 감옥에 투옥된 그는 단식 끝에 76세를 일기로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학문과 저술

「춘우정문고(春雨亭文稿)」와 만경강에 투신할 때 품고 있었다는 「춘우정절명사(春雨亭絶命詞)」가 남아 있다.

상훈과 추모

1945년 김환풍 · 안항섭 등이 발의하여 김영상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사당인 필양사(泌陽祠)를 건립하였다(국가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51-1-19, 관리자: 필양사보존회). 1978년 지역 인사들이 김제 만경강 사창진에 「춘우정투수순절추모비(春雨亭投水殉節追慕碑)」를 건립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 대통령 표창,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2011년에는 순국 100주기를 맞아 필양사에 「우국지사춘우정김영상선생순국추모비(憂國之士春雨亭金永相先生殉國追慕碑)」를 건립하였다. 2012년 정읍문화원에서 『춘우정 김영상선생 순국100주년 기념집』을 발간하였다. 2021년 11월에는 ‘정읍의 역사인물’로 선정되었으며, 주5 채용신(蔡龍臣)이 1922년에 그린 「투수도(投水圖)」와 후손인 이호백이 그린 「춘우정투강순절도(春雨亭投江殉節圖)」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홍영기, 『대한제국기 호남의병 연구』(일조각, 2004)
전북향토문화연구회, 『전북의병사』 하(전북향토문화연구회, 1992)
『독립유공자 공훈록』 1(국가보훈처, 1986)

논문

홍영기, 「한말 태인의병의 활동과 영향」(『전남사학』 11, 전남사학회, 1997)

신문

「‘원수랑 함께 할 수 없다’ 순절한 춘우정 김영상」(『전북도민일보』, 2017. 7. 19.)
「춘우정 김영상 선생, 순국 100주년 기념비 제막식」(『전북도민일보』, 2011. 11. 16.)
주석
주1

일을 맡아서 처리함.    우리말샘

주2

‘쓰시마섬’을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이름.    우리말샘

주3

상량식을 할 때에 상량을 축복하는 글.    우리말샘

주4

은혜롭게 베풀어 준 돈이라는 뜻으로, 임금이나 상전이 내려 준 돈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5

임금의 모습을 전문적으로 그리는 사람.    우리말샘

집필자
한규무(광주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