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출자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훈민정음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초출자는 훈민정음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이다.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11개의 중성 중 기본자는 천지인 삼재를 본떠 만들었다고 하였다. ‘ㆍ’는 하늘의 둥근 모양,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 ‘ㅣ’는 ‘사람의 서 있는 모양’이다. 초출자는 이 기본자를 결합하여 만든‘ㅗ, ㅏ, ㅜ, ㅓ’ 4개의 글자를 말한다. 초출자의 음가는 기본자를 결합하여 만든 것이지만 기본자의 음가가 결합된 결과와 다르다. 초출자는 이런 특성으로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문자소 부류인 중성 11자에 포함된다.

목차
정의
훈민정음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
내용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중성 11자 가운데 먼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 기본자 ‘ㆍ, ㅡ, ㅣ’를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 즉 ‘ㆍ’는 하늘의 둥근 모양,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 ‘ㅣ’는 ‘사람의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것이다. 『훈민정음』의 설명과 외국어 전사에 사용된 ‘ㆍ, ㅡ, ㅣ’의 음가를 바탕으로 하면 ‘ㆍ’는 후설저모음 [ʌ], ‘ㅡ’는 중설고모음 [ɨ], ‘ㅣ’는 전설고모음 [i]으로 추정된다.

「제자해」에서는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ㅗ, ㅏ, ㅜ, ㅓ’ 4개의 글자를 더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 즉 “‘ㅗ’는 ‘설축(舌縮)’으로로서 ‘ㆍ’와 같지만 ‘구축(口蹙)’이고, ‘ㆍ’와 ㅡ가 어울려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ㅏ’는 ‘설축’으로서 ‘ㆍ’와 같지만 ‘구장(口張)’이고, 그 모양은 ‘ㅣ’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의 움직임이 사물에 나타나되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ㅜ’는 ‘설축’으로서 ‘ㅡ’와 같지만 ‘구축’이고, 그 모양은 ‘ㅡ’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ㅓ’는 ‘설축’으로서 ‘ㅡ’와 같지만 ‘구장’이고, ‘ㅣ’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의 움직임이 사물에 나타나되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ㅗ, ㅏ, ㅜ, 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초출자(初出字)’라 한다. ‘ㅗ, ㅏ, ㅜ, ㅓ’에서 둥근 점(ㆍ)을 하나 한 것은 처음으로 생겨났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을 종합하면 ‘초출자’는 ‘훈민정음’의 기본자인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로서,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ㅗ, ㅏ, ㅜ, ㅓ’를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제자해」의 설명에서 ‘ㅗ’와 ‘ㅏ’는 ‘ㆍ’와 같은 ‘설축’의 중성이고, ‘ㅜ’와 ‘ㅓ’는 ‘ㅡ’와 같은 ‘설소축’의 중성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ㅗ’와 ‘ㅜ’는 ‘구축’의 중성이고 ‘ㅏ’와 ‘ㅓ’는 ‘구장’의 중성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과 외국어 전사에 사용된 ‘ㅗ, ㅏ, ㅜ, ㅓ’의 음가를 바탕으로 근래 ‘ㅗ’는 [o], ‘ㅏ’는 [a], ‘ㅜ’는 [u], ‘ㅓ’는 [ə]였을 것으로 추정해 오고 있다. 그래서 ‘ㅗ, ㅏ, ㅜ, ㅓ’의 글자 구성 요소와 그 음가를 대비해 보면 초출자의 제자에 ‘ㆍ, ㅡ, ㅣ’를 활용하기는 하였으나 ‘ㆍ, ㅡ, ㅣ’의 음가와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ㅗ’는 ‘ㆍ’와 ‘ㅡ’의 결합이지만 ‘ㅗ’의 음가는 ‘ㆍ’의 음가 [ʌ]와 ‘ㅡ’의 음가 [ɨ]의 결합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ㅗ, ㅏ, ㅜ, ㅓ’는 ‘합용’이나 ‘합자’라 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문자소 단위의 집합인 중성 11자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훈민정음』(박창원, 신구문화사, 2005)
『훈민정음 연구』(강신항, 수정증보7판,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모음조화의 연구』(김주원,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3)
「중국 문자학과 『훈민정음』 문자 이론」(김주필, 『인문연구』 48,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5)
「모음체계와 모음조화에 대한 반성」(김완진, 『어학연구』 14-2,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978)
집필자
김주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