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출자는 훈민정음 중성의 기본자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이다.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 11개의 중성 중 기본자는 천지인 삼재를 본떠 만들었다고 하였다. ‘ㆍ’는 하늘의 둥근 모양,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 ‘ㅣ’는 ‘사람의 서 있는 모양’이다. 초출자는 이 기본자를 결합하여 만든‘ㅗ, ㅏ, ㅜ, ㅓ’ 4개의 글자를 말한다. 초출자의 음가는 기본자를 결합하여 만든 것이지만 기본자의 음가가 결합된 결과와 다르다. 초출자는 이런 특성으로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문자소 부류인 중성 11자에 포함된다.
『훈민정음』의 「제자해」에서는 중성 11자 가운데 먼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를 본떠 기본자 ‘ㆍ, ㅡ, ㅣ’를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 즉 ‘ㆍ’는 하늘의 둥근 모양, ‘ㅡ’는 ‘땅의 평평한 모양’, ‘ㅣ’는 ‘사람의 서 있는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는 것이다. 『훈민정음』의 설명과 외국어 전사에 사용된 ‘ㆍ, ㅡ, ㅣ’의 음가를 바탕으로 하면 ‘ㆍ’는 후설저모음 [ʌ], ‘ㅡ’는 중설고모음 [ɨ], ‘ㅣ’는 전설고모음 [i]으로 추정된다.
「제자해」에서는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ㅗ, ㅏ, ㅜ, ㅓ’ 4개의 글자를 더 만들었다고 설명하였다. 즉 “‘ㅗ’는 ‘설축(舌縮)’으로로서 ‘ㆍ’와 같지만 ‘구축(口蹙)’이고, ‘ㆍ’와 ㅡ가 어울려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ㅏ’는 ‘설축’으로서 ‘ㆍ’와 같지만 ‘구장(口張)’이고, 그 모양은 ‘ㅣ’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의 움직임이 사물에 나타나되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ㅜ’는 ‘설축’으로서 ‘ㅡ’와 같지만 ‘구축’이고, 그 모양은 ‘ㅡ’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이 처음 사귀는 뜻을 취한 것이다. ‘ㅓ’는 ‘설축’으로서 ‘ㅡ’와 같지만 ‘구장’이고, ‘ㅣ’와 ‘ㆍ’가 어울려 ‘하늘’과 ‘땅’의 움직임이 사물에 나타나되 ‘사람’을 기다려 이루어지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ㅗ, ㅏ, ㅜ, 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초출자(初出字)’라 한다. ‘ㅗ, ㅏ, ㅜ, ㅓ’에서 둥근 점(ㆍ)을 하나 한 것은 처음으로 생겨났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을 종합하면 ‘초출자’는 ‘훈민정음’의 기본자인 ‘ㆍ, ㅡ, ㅣ’를 서로 결합하여 만든 글자로서,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ㅗ, ㅏ, ㅜ, ㅓ’를 일컫는 말이다.
그런데 「제자해」의 설명에서 ‘ㅗ’와 ‘ㅏ’는 ‘ㆍ’와 같은 ‘설축’의 중성이고, ‘ㅜ’와 ‘ㅓ’는 ‘ㅡ’와 같은 ‘설소축’의 중성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ㅗ’와 ‘ㅜ’는 ‘구축’의 중성이고 ‘ㅏ’와 ‘ㅓ’는 ‘구장’의 중성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설명과 외국어 전사에 사용된 ‘ㅗ, ㅏ, ㅜ, ㅓ’의 음가를 바탕으로 근래 ‘ㅗ’는 [o], ‘ㅏ’는 [a], ‘ㅜ’는 [u], ‘ㅓ’는 [ə]였을 것으로 추정해 오고 있다. 그래서 ‘ㅗ, ㅏ, ㅜ, ㅓ’의 글자 구성 요소와 그 음가를 대비해 보면 초출자의 제자에 ‘ㆍ, ㅡ, ㅣ’를 활용하기는 하였으나 ‘ㆍ, ㅡ, ㅣ’의 음가와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ㅗ’는 ‘ㆍ’와 ‘ㅡ’의 결합이지만 ‘ㅗ’의 음가는 ‘ㆍ’의 음가 [ʌ]와 ‘ㅡ’의 음가 [ɨ]의 결합이 아닌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ㅗ, ㅏ, ㅜ, ㅓ’는 ‘합용’이나 ‘합자’라 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문자소 단위의 집합인 중성 11자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