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수 ()

목차
불교
개념
밀교에서 관정(灌頂) 시 제자의 정수리에 부어주거나 마시는 물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밀교에서 관정(灌頂) 시 제자의 정수리에 부어주거나 마시는 물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관정은 원래 인도 고대 종교에서 왕위즉위식 때 태자의 정수리에 사해(四海)의 물을 붓던 의식이었다. 이후 불교의식으로 수용되어 보살십지(菩薩十地) 가운데 법운지(法雲地)에 든 보살에게 여래들이 관정을 내려 증명하기 때문에 법운지를 관정지(灌頂地)라 부르기도 한다. 금강수는 밀교의 관정의궤 가운데 등장하는 것으로 밀교의 수행에 입문하거나, 아사리가 되었을 때 정수리에 물을 부어 증명하였다.

금강수는 관정수(灌頂水)라고도 하며, 밀교계인 삼매야계(三昧耶戒)를 내릴 때에는 서수(誓水)라고 말하기도 한다. 『묘길상평등비밀최상관문대교왕경(妙吉祥平等秘密最上觀門大教王經)』 권2에는 “다음 관정 아사리는 왼손으로 금강수를 찍어 제자의 때 묻은 몸을 씻는다고 관상한다[次灌頂師以左手蘸金剛水 想弟子洗沐垢染之身]”라고 하였다.

밀교에서 관정수를 금강수로 부르는 이유는 밀교의 진리관에 연유한 것으로 반야의 지혜로서 중생의 현실을 관조할 때 속제 그대로가 영원불변의 진리의 세계임을 금강으로 비유한데 따른 것이다. 밀교에는 금강수뿐만 아니라 금강령(金剛鈴), 금강저(金剛杵)와 같이 금강의 수식어를 붙인 법구를 많이 볼 수 있다. 『진실섭경(眞實攝經)』에는 진언행자(眞言行者)의 신어의 그대로가 진리임을 깨달을 때 수행자는 금강계를 성취하고, 이때 금강계의 불신을 성취한 것을 증명하기 위해 관정을 내린다고 되어 있다.

참고문헌

『묘길상평등비밀최상관문대교왕경(妙吉祥平等秘密最上觀門大教王經)』
『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삼매대교왕경(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三昧大敎王經)』
『인도 후기밀교의 수행체계 연구』(정성준, 이스트워드, 2007)
『밀교학의 기초지식』(정성준, 이스트워드, 2004)
『불교 속의 밀교』(허일범, 서울: 도서출판 진각종 해인행, 2000)
「藏文和譯大日經廣釋」(栂尾祥瑞, 『遺稿論文集』 第2, 臨川書店, 1984)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