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문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일체법이 공(空)함을 관조하여 해탈에 이르는 불교수행법. 삼해탈문 · 삼삼매 · 삼공 · 삼탈문 · 삼문 · 삼공관문.
이칭
이칭
삼해탈문(三解脫門), 삼삼매(三三昧), 삼공(三空), 삼탈문(三脫門), 삼문(三門), 삼공관문(三空觀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체법이 공(空)함을 관조하여 해탈에 이르는 불교수행법. 삼해탈문 · 삼삼매 · 삼공 · 삼탈문 · 삼문 · 삼공관문.
내용

공문은 삼삼매(三三昧), 삼공(三空), 삼탈문(三脫門), 삼문(三門), 삼공관문(三空觀門)이라 부르기도 한다. 삼해탈문의 출처는 『보살영락본업경(菩薩瓔珞本業經)』으로 경전에서 석가모니 붓다는 “모든 붓다는 육종성(六種性)과 삼해탈문을 가르치는데, 자신도 다른 붓다들과 같이 이것들을 가르친다”라고 하였다. 삼해탈문은 공해탈문(空解脫門)·무상해탈문(無相解脫門)·무원해탈문(無願解脫門)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해탈문은 일체법의 무자성을 관조하는 것이고, 무상해탈문은 일체법의 자상(自相)이 공함을 관조하는 것이며, 무원해탈문은 일체법의 자성과 상이 공하기 때문에 중생의 업과를 짓지 않는다는 뜻이다.

넓은 의미에서 공문은 아공(我空), 법공(法空), 구공(俱空)을 관조하는 것으로 순서적으로 주관적 번뇌의 공함과 객관세계의 공함과 자아와 객관세계가 모두 공함을 관조하는 수행을 의미하기도 한다. 유가행의 유식이론에 의거할 때 삼해탈문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타기성(依他起性)·원성실성(圓成實性)의 3성(三性)에 대해 순서적으로 공해탈문, 무원해탈문, 무상해탈문을 대비한 수행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유식과 심식(心識)사상연구』(오형근, 불교사상사, 1989)
『대승불교사상』(김동화, 보련각, 1988)
『唯識の哲學』(橫山紘一, 京都: 平樂寺書店, 1980)
『空觀と唯識觀』(田中順照, 京都: 永田文昌堂, 1977)
『佛敎要語の基礎知識』(水野弘元, 東京: 春秋社, 1972)
『攝大乘論硏究』 2卷(宇井伯壽, 東京: 岩波書店, 193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