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식구민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마음의 경계와 마음까지 모두 잊는다는 뜻으로, 마음이 일으키는 번뇌와 마음 밖의 세계에 대한 오해와 무지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하는 불교 교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경식구민(境識俱泯)이란 마음의 경계와 마음까지 모두 잊는다는 뜻으로, 마음이 일으키는 번뇌와 마음 밖의 세계에 대한 오해와 무지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하는 불교 교리이다. 경식구민은 진제삼장이 역출한 『전식론』에 나오는 개념으로, 9식설의 구도에서는 아말라식에 해당하며 삼성설의 구도 안에서는 원성실성에 해당한다.

목차
정의
마음의 경계와 마음까지 모두 잊는다는 뜻으로, 마음이 일으키는 번뇌와 마음 밖의 세계에 대한 오해와 무지가 사라진 상태를 의미하는 불교 교리.
내용

경식구민(境識俱泯)이란 마음의 경계[境]와 마음[識]을 모두 잊는다는 뜻으로, 마음이 일으키는 번뇌와 마음 밖의 세계에 대한 오해와 무지가 사라진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경식구민(境識俱泯)’은 진제삼장(眞諦三藏)이 역출(譯出)한 『전식론(轉識論)』에 나오는 말로 『종경록(宗鏡錄)』에도 인용되어 있다.

중국 불교의 유식학파는 진제삼장에 의한 섭론종(攝論宗)과 현장(玄奘)에 의한 법상종(法相宗)으로 나누어지는데, 시대가 앞서는 섭론종을 구유식, 법상종은 신유식이라 부르기도 한다.

진제삼장은 『전식론』에서 식을 인식하는 마음인 능분별과 그 마음에 의해 인식되는 외계 대상인 소분별로 나눈다. 그리고 마음을 떠나 외계 대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외계 대상이란 실재하지 않는 것이며, 또 외계 대상은 실재하지 않으므로 그것을 인식하는 마음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여 마음의 경계[境]와 마음[識]을 모두 부정하였다. 진제삼장은 이와 같이 마음의 경계와 마음이 모두 사라진 상태를 ‘경식구민’이라고 하여 이것이 곧 아말라식이라고 하였다. 아말라식이란 진제삼장, 또는 섭론종의 9식설(九識說)에서 등장하는 식으로 기존의 6식과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에 새롭게 추가된 청정식을 말한다. 또한 진제삼장은 삼성설(三性說)의 구도 안에서 소분별은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에, 능분별은 의타기성(依他起性)에 대응시키면서 이 둘이 사라진 경식구민의 상태란 삼성 중 원성실성(圓成實性)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선불교(禪佛敎)에서도 경식구민은 선 수행의 이론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중국 금나라의 정언선사가 지은 『진심직설(眞心直說)』에서는 진심(眞心)이 드러나는 단계에서 ‘진심으로 망념을 쉬는 단계[眞心息妄]’를 설명하면서, “지금까지 여러 스님들이 무심 공부를 한 것이 저마다 다르지만 이제 그 대의를 들어 열 가지로 밝힌다. 즉 깨달아 살핌[覺察], 쉼[休歇], 마음을 없애고 경계를 둠[泯心存境], 경계를 없애고 마음을 둠[泯境存心], 마음도 없애고 경계도 없앰[泯心泯境], 마음도 두고 경계도 둠[存心存境], 안팎이 하나인 본체[內外全體], 안팎이 모두 작용[內外全用], 체가 곧 용[卽體卽用], 체와 용을 초월함[透出體用]이 그것이다”라고 하였는데 ‘마음도 쉬고 경계도 쉬는 경지[泯心泯境]’가 바로 ‘경식구민’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원전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사가어록(四家語錄)』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
『육조단경(六祖壇經)』
『임제록(臨濟錄)』-선화본(宣和本)-
『전식론(轉識論)』
『진심직설(眞心直說)』

단행본

논문

김태완, 「중국 조사선의 연구」(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