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나한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은 16인의 뛰어난 제자로, 집단으로 숭배를 받는 신앙 대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십육나한은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은 16인의 뛰어난 제자로, 집단 숭배를 받는 신앙 대상을 말한다. 이들은 삼계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았으며, 삼장과 외전에도 통달한 부처님의 제자들로서 이 세상에 머물면서 정법(正法)을 지키고 있다.

목차
정의
석가모니의 교화를 받은 16인의 뛰어난 제자로, 집단으로 숭배를 받는 신앙 대상.
내용

십대제자는 어느 특정한 분야에서 제일 뛰어난 이들이지만, 이들은 전문 분야에 대해서가 아니라 집단으로서 숭배된다. 즉, 넓은 의미로는 이 세상에 머물면서 정법(正法)을 지키는 부처님의 제자들이라는 뜻이다.

① 핀돌라브하라드바아쟈(Piṇḍolabharadvāja, 賓度羅跋囉惰闍), ② 카나카밧사(Kanakavatsa, 迦諾迦伐蹉), ③ 카나카브하라드바아쟈(Kanakabharadvāja, 迦諾迦跋釐墮闍), ④ 수빈다(Suvinda, 蘇頻陀), ⑤ 나쿨라(Nakula, 諾距羅), ⑥ 브하드라(Bhadra, 跋陀羅), ⑦ 카리카(Karika, 迦理迦), ⑧ 바즈라푸트라(Vajraputra, 伐闍羅弗多羅), ⑨ 지바카(Śvaka, 戍博迦), ⑩ 판타카(Panthaka, 半託迦), ⑪ 라후라(Rāhula, 囉怙羅), ⑫ 나가세나(Nāgasena, 那伽犀那), ⑬ 앙가타(Iṅgata, 因掲陀), ⑭ 바나밧시(Vanavāsin, 伐那婆斯), ⑮ 아지타(Ajita, 阿氏多), ⑯ 쿠다판타카(Cūdapanthaka, 注荼半託迦) 등이다.

『입대승론(入大乘論)』에는 “부처님이 열반에 드실 때 십육 아라한에게 불멸(佛滅) 후의 불교 호지(護持)를 부촉(付屬)하셨다.”라고 하였다. 이들 십육 아라한은 삼계(三界)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았으며, 삼장(三藏)에 통달하였다고 한다. 특히 외전(外典)에 능하여 외도(外道)를 항복받으며, 신통력으로 자신들의 수명을 연장하였다고 한다.

십육나한은 정법기(正法期)에는 불교를 지키고, 말법기(末法期)에는 불교인들의 복전(福田)이 되어, 그들로 하여금 열반의 과보(果報)를 얻게 한다.

이 십육나한에 대한 신행(信行)은 중국 · 한국 · 일본 등에 크게 성행하였는데, 중국의 경우 현장(玄奘)이 인도 구법에서 돌아와 『대아라한난제밀다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説法住記)』를 번역한 7세기 중반부터 크게 성행하였다. 둔황(敦煌)의 천불동(千佛洞) 제79번 석굴에는 부조(浮彫)로 채색한 십육나한상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말세 신앙과 함께 특히 8세기 후반부터 십육나한에 대한 존숭(尊崇)이 성행하였던 듯하다. 신라사불산(四佛山)에 십육나한의 변형상(變形像)을 모셨던 것을 효시로 하여 그 뒤 탱화불화의 소재가 되었다. 나한 탱화와 십육나한상은 우리나라 사원의 응진전(應眞殿)에 많이 봉안된다.

참고문헌

원전

『입대승론(入大乘論)』
『대아라한난제밀다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説法住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불조통기(佛祖統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