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 ()

목차
불교
개념
난생 · 태생 · 습생 · 화생이라는 4가지 출생 방식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난생 · 태생 · 습생 · 화생이라는 4가지 출생 방식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난생은 알에서 태어나는 것, 태생은 모태로부터 태어나는 것, 습생은 습한 곳에서 태어나는 것, 화생은 변태(變態)를 통해 태어나는 것을 가리킨다.

불교의 생물관은 인간이 사는 욕계(欲界)뿐만 아니라 색계(色界), 무색계를 포함하기 때문에 화생의 경우 무색계의 건달바(乾達婆)와 같이 사념에 의해 태어나거나, 극락정토와 같이 연꽃 가운데서 태어나는 경우를 가리키기도 한다. 또한 생존방식의 고락에 따라 하늘·인간·아수라·축생·아귀·지옥의 여섯 가지 세계를 윤회하는데 이것을 육도(六道)라 한다.

불교의 유식학에서는 중생이 태어나는 원인을 아뢰야식에 저장된 습성이 업력(業力)을 형성하여 신업(身業)으로서 사생이나 삼계, 육도에 이끌려 태어난다고 말한다. 사생의 경우 난생은 알속에 갇힌 한계에 비유하여 정신적 미혹에 의해 태어나며, 태생은 길들여진 습성에 의해 태어나고, 습생은 삿된 견해에 이끌려 태어나며, 화생은 아생과 견해에 집착하는 정신계로 인해 태어난다고 말한다.

한국불교의 의례에서는 석가모니 붓다를 가리켜 사생자부(四生慈父)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붓다가 중생의 태생에 관계없이 모든 중생에게 자비로운 부모와 같다는 뜻이다.

참고문헌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대정신수대장경[대정장] 27)
『아비달마대비바사론(阿毘達磨大毘婆沙論)』(대정장 27)
『윤회의 자아와 무아』(정숭석, 장경각, 1999)
『業論の硏究』(佐佐木現順, 京都: 法藏館, 1990)
『俱舍論の硏究』(櫻部 建, 京都: 法藏館, 1975)
『佛敎要語の基礎知識』(水野弘元, 東京: 春秋社, 1972)
「初期佛敎における生天の根據付け」(石上和敬, 『印度學佛敎學硏究』 Vol. 42-2,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94)
「轉生の理論」(福原亮嚴, 『印度學佛敎學硏究』 Vol. 8-2, 1960)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