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복 ()

의생활
의복
수영, 수구, 다이빙, 서핑과 같은, 물속 활동이나 일광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의상.
이칭
이칭
스윔슈트(swimsuit), 베이딩 슈트(bathing suit)
의복
재질
나일론, 우레탄 등
제작 시기
연중 수시(수영복 제작 업체)
관련 의례
미인선발대회 수영복 심사 등
내용 요약

수영복은 수영, 수구, 다이빙, 서핑 등 물속 활동이나 일광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의상이다. 1920년대에 유행한 해수욕 문화와 함께 원피스형 수영복이 소개되었고, 1960년대에 등장한 비키니 수영복은, 많은 비판을 받았지만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문화 코드이자 여성 해방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최윤희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수영 인구의 증가와 함께 수영복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2000년대부터 스파 문화와 워터 파크의 발달로 실내용 수영복이 다양해지면서 패션 감각이 있는 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다.

정의
수영, 수구, 다이빙, 서핑과 같은, 물속 활동이나 일광욕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의상.
연원

서기전(B.C.)주3 350년 그리스에서 여성들이 수영을 했다는 기록과 함께, 서기 3~4세기경의 시실리 피아차 아르메리나(Piazza Armerina) 주4 주5에도 오늘날의 비키니와 같은 옷을 입은 소녀들이 그려져 있다. 로마시대에도 수영이 인기 있었지만 당시에는 평상복을 입고 수영을 하였다. 19세기 유럽에서는 의사들이 우울증 치료를 위한 놀이로 수영을 권장하면서 주6처럼 노출이 없이 헐렁하고 긴 옷을 착용하였다. 수영복은 1850년(철종 1)에 주7 형태로 변형되었고 몸매가 드러나는 수영복은 1910년이 돼서야 등장하였다. 남성 수영복도 원래는 다리까지 내려오는 원피스형이었는데, 20세기 들어 상의가 없어지고 하의만 입는 형태로 바뀌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수영복 착용은 1898년(광무 2) 무관학교(武官學校)에서 학생들에게 수영 연습을 시킨 것을 시작으로 1916년 원산 해수욕장 수영 주9에서 찾을 수 있는데, 남녀 모두 원피스 형태의 옷을 착용하였다. 1920년대에 해수욕 문화가 유행하면서 처음으로 주8이 등장했지만, 어깨와 겨드랑이, 다리가 노출된 현재의 원피스 수영복과 비슷한 스타일은 1920년대 말에야 나타났다. 1946년에 프랑스 파리의 패션디자이너 루이스 레아르(Louis Réard)가 발표한 주10는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에 백화사의 ‘상어표 수영복’을 통해 처음 등장했음에도 당시 커다란 사회적 논란을 초래하였다.

형태 및 용도

수영복은 크게 두 가지 목적으로, 운동에 적합한 형태로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는 디자인인 실내 수영복과, 주11 또는 물놀이 시설 등에서 착용하는 주12인 실외 수영복으로 나뉜다. 실내용 스타일에는 원피스형의 전신 수영복(bodysuit), 반전신 수영복, 투피스형 탱크 주13, 래시가드(rash 주14 등이 있고, 실외용 스타일 중 원피스형에는 잠수복 형태의 주15, 드라이 주16, 래시 가드, 투피스형에는 주17, 주18, 마이크로키니(microkini) 등이 있다. 수영복의 소재는 주19, 주20의 등 화학 섬유가 많고 신축성 있는 주21 소재가 주로 사용된다.

변천 및 현황

우리나라에서 수영복이 대중에게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중반부터다. 당시, 비싼 가격의 수영복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영을 할 때 여자들은 평상복과 같은 옷, 남자들은 검은색 무명 팬티를 착용하였다. 점차 경제적 안정으로 유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의복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수영복이 확산되기 시작했는데, 그 당시의 여성 수영복 디자인은 대부분 단색에 밑단이 일자형으로 지극히 단순하고 장식도 대부분 형태적인 단점을 보완하는 정도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 후기에는 울이나 저지 소재에, 형태와 색상, 무늬 등이 다양한 디자인이 나타났고 수영복 차림의 잡지 표지 주22이 등장하는 등 수영복이 보편화되었다.

1961년 백화사에서 비키니를 ‘상어표 수영복’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는데, 이 비키니 수영복은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것으로, 1946년 프랑스 디자이너 루이 레아(Louis Reard)가 처음으로 비키니를 발표했을 때처럼 격렬한 비판을 받았지만 여성 해방의 상징으로 한국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문화 코드로 해석되어 각광을 받았다. 1960년대 중반부터는 비키니를 주제로 부른 노래가 유행하고, 주23 문화가 젊은이들 사이에서 퍼지면서 비키니형 수영복이 점차 대중화되었고, 1960년대 말 미니스커트(mini skirt)의 유행은 비키니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허리 노출이 현격하게 확대되었다. 1970년대 비키니는 가슴과 허리 부분을 더욱 대담하게 파낸 ‘미니 비키니(mini bikini)’가 출현하였다. 여성들이 대담한 디자인의 비키니를 즐겨 착용하면서 고리 장식, 버클, 단추, 보우(bow), 주1 등과 같이 다양한 디테일이 활용되었다.

1980년대에는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등 서울 올림픽 국제 스포츠 행사로, 국내 스포츠 패션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아시안 게임의 수영 종목에서 최윤희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면서 수영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고조되었으며, 실내 수영장에 대한 수요와 함께 수영을 즐기는 인구도 증가하자 국내 전문 수영복 브랜드가 개발되었다. 1990년대에는 수영복에 기능성 소재의 개념이 도입되었고 실내 수영복과 실외 수영복이 구분되어 판매되었으나, 디자인의 차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시기에는 주24 주25가 부각되면서 화려한 컬러와 패턴이 활용되었고, 다리 부분이 깊게 파인 하이 컷 레그(high leg 주26 수영복이나, 남자 수영복으로 사각팬티나 반바지를 입던 수영복에서 남성용 비키니, 즉 맨키니(Mankini: Man+Bikini)가 등장하였다. 2000년대부터는 주27 문화와 워터 파크(water 주28의 발달로 실내용 수영복이 다양화되었는데, 수영복뿐만 아니라 세트 개념의 모자, 가방, 그리고 주29 등을 토털 주30으로 하는 트렌드와 실내 · 외 수영복의 디자인 차별화가 이루어졌다. 실외용으로는 메탈릭(metallic), 주31 등의 다양한 소재들이 활용되고 탱키니, 모노키니, 스트링 주32 등과 같이 패션 감각이 있는 디자인이 강조되었고 실외용 수영복은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신 주33이나 신소재의 수영복이 나타났다.

의의 및 평가

20세기 중반 여성의 사회 진출 확대, 풍요로운 물질 속에 성장한 전후 세대의 새로운 가치 주35 변화를 반영한 패션 아이템 중에서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신체 노출에 대한 주34이 배제된 수영복의 대중화였다. 수영복은 부도덕한 의복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여성들의 개성을 추구하고 여성성을 과시하는 방식으로 급속한 변화를 거쳐 왔다. 특히 우리나라 수영복의 변화와 발전된 모습은 젊은이들의, 새로운 문화 코드와 여성들이 스스로의 신체를 통제하며 자신감을 드러내는 과정과, 스포츠웨어(sports 주36로서 기능성과 패션성의 조화와 차별화를 보여 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부자, 『우리 생활 100년 · 옷』(현암사, 2001)
오희선, 『재미있는 패션이 야기』(교학사, 2002)
금기숙 외 9인, 『현대 패션 110년』(교문사, 2012)

논문

강선아·조주연·정수인, 「국내 수영복의 디자인 트렌드 변화」(『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한국콘텐츠학회, 2015)
김혜경·조은정·최형민, 「한국 여자 수영복 디자인의 변천(1)」(『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의류산업학회, 2004)

인터넷 자료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98%81%EB%B3%B5#%EC%97%AC%EC%9E%90_%EC%88%98%EC%98%81%EB%B3%B5)

기타 자료

‘공감누리집’(2005.07.15.)
‘대한민국정책브리핑’(2015.07.21.)
‘라이프’(2014.08.07.)
‘YTN’(2014.08.04.)
주석
주1

바이어스 테이프 따위로 감싸서 시접을 정리하는 방법. 우리말샘

주2

기원 원년 이전. 주로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서력기원을 기준으로 하여 이른다. 우리말샘

주3

기원 원년 이전. 주로 예수가 태어난 해를 원년으로 하는 서력기원을 기준으로 하여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여러 가지 빛깔의 돌이나 유리, 금속, 조개껍데기, 타일 따위를 조각조각 붙여서 무늬나 회화를 만드는 기법. 우리말샘

주5

건물이나 동굴, 무덤 따위의 벽에 그린 그림. 우리말샘

주6

아래위가 붙어 하나로 된 길고 헐렁한 겉옷. 우리말샘

주7

여성복에서, 주로 같은 천으로 하여 윗옷과 아래옷이 따로 되어 한 벌을 이룬 옷. 우리말샘

주8

수영할 때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9

어떤 지식이나 기술 등을 가르치기 위하여 짧은 기간 동안 여는 모임. 우리말샘

주10

상하가 분리되어 브래지어와 팬티로 이루어진 수영복. 우리말샘

주11

볕이 바로 드는 곳. 우리말샘

주12

여가 활동이나 운동을 즐길 때 입는 옷. 소탈하고 개방적인 옷 모양과 선명한 색상으로 되어 있으며, 활동하기에 편리하다. 우리말샘

주13

위아래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몸에 달라붙는 여성용 수영복. 남성의 러닝셔츠처럼 어깨끈이 달려 있다. 우리말샘

주14

힘든 훈련으로 인하여 흐르는 땀 때문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는 운동복. 우리말샘

주15

합성 고무로 만든 잠수복의 한 종류. 몸은 젖지만, 몸과의 사이에 들어간 물이 체온으로 따뜻해져서 보온 효과가 있다. 우리말샘

주16

스킨 스쿠버 다이빙을 할 때 입는 네오프렌 소재의 잠수복. 방수, 피부 보호, 체온 유지의 효과가 뛰어나지만 고무가 찢어지면 물이 들어와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우리말샘

주17

스포츠 브라 형식의 탱크톱과 비키니 팬츠로 상하가 분리된 수영복.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8

1964년에 게른라이히가 발표한 수영복. 가슴 부분이 노출된 높은 허리선의 수영복에 두 개의 가는 끈이 멜빵처럼 달려 있다. 가슴을 노출하는 토플리스 형태의 수영복이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9

가볍고 질기며 피부에 닿는 느낌이 부드러운 합성 섬유. 우리말샘

주20

카르밤산의 에스테르와 알릴 유도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알코올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진정제, 최면제로 쓴다. 우리말샘

주21

고무와 비슷한 탄성을 지닌 폴리우레탄 합성 섬유. 잘 늘어나고 가볍고 질겨서, 여성용 하의ㆍ수영복ㆍ양말ㆍ각종 스포츠 의류 따위의 재료로 쓰인다. 우리말샘

주22

책 따위의 표지를 장식하는 모델. 우리말샘

주23

기성의 가치관ㆍ제도ㆍ사회적 관습을 부정하고, 인간성의 회복ㆍ자연과의 직접적인 교감 따위를 주장하며 자유로운 생활 양식을 추구하는 젊은이들.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생겨나 전 세계로 퍼졌다. 우리말샘

주24

과거의 모양, 정치, 사상, 제도, 풍습 따위로 돌아가거나 그것을 본보기로 삼아 그대로 좇아 하려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5

사람들의 사고, 사상, 활동이나 일의 형세 따위가 움직여 가는 방향이나 추세. 우리말샘

주26

허벅다리 부분이 깊게 파인 수영복. 수영복의 하의 부분이 엉덩이 관절 부위가 보일 정도로 깊게 파였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27

탕의 뜨거운 물과 압력을 이용한 마사지. 또는 그런 시설이 있는 곳. 우리말샘

주28

물놀이 따위를 하며 즐기거나 휴양할 수 있도록, 물놀이 기구 및 제반 시설을 대규모로 갖춘 곳. 우리말샘

주29

한 장의 천으로 만든, 몸에 감아 입는 치마. 옆을 꿰매지 않고 앞이나 뒤로 엇맞추어 입는다. 스코틀랜드의 킬트(kilt)가 이런 유형에 속하는데, 임산부용으로 알맞다. 우리말샘

주30

의상, 화장, 액세서리, 구두 따위를 머리부터 발끝까지 조화롭게 꾸미는 것. 우리말샘

주31

뜨개질에 쓰는 구부러진 바늘. 우리말샘

주32

가는 끈으로 연결되어 최소한의 부분만 가리는 수영복. 상의는 뒷목과 등에서 끈으로 묶어서 고정하여 가슴 부분만 가리게 되어 있고, 하의는 허리 부분을 끈으로 묶어 고정한다. 우리말샘

주33

목부터 발목까지 신체의 대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수영복. 세계 수영 연맹이 2010년부터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나 올림픽 따위에서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우리말샘

주34

도덕에 관한 관념. 우리말샘

주35

어떤 대상의 중요성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일정한 체계. 우리말샘

주36

운동하기에 적합하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옷.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